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A Case of Craniometaphyseal Dysplasia Associated with Hearing Impairment and Vertigo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auditory and vestibular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2;6(2):152-156.
A Case of Craniometaphyseal Dysplasia Associated with Hearing Impairment and Vertigo
Seung Hyun Kim, Je Hawn Yoon, Yong Bum Cho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청력감소와 어지럼증을 동반한 두개골간단 이형성증(Craniometaphyseal Dysplasia) 1례
김승현, 윤제환, 조용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Craniometaphyseal dysplasia (CMD) that was first described as a separate entity by Peter Jackson et al in 1954, belongs a group of osteopetrosis and is characterized by metaphyseal dysplasia, sclerosis of the base of the skull and overgrowth of craniofacial bone. Since that time, there had been some reports of CMD and it had become evident that the autosomal dominant form is relatively mild, comparatively common, while autosomal recessive form is rare, severe. Clinical feature of CMD is a variable of facial distortion, cranial nerve neuropathy,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and this all may be found in combination or alone.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CMD with dizziness and hearing loss in a 18 year old female patient and report this case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s.

Keywords: Craniometaphyseal dysplasia;Vertigo;Hearing loss;Facial paralysis.

교신저자:조용범, 501-190 광주 광역시 동구 학1동 8번지
            전화) (062) 220-6776 · 전송) (062) 228-7743 · E-mail:choyb@chonnam.ac.kr

서     론


두개골간단 이형성증(Craniometaphyseal dysplasia;CMD)은 골화석증의 일종으로 골간단의 이형성증, 두개저의 경화증, 두개 및 안면골의 과성장을 특징으로 하며 1954년 Jackson에 의하여 처음 명명된 이후8) 외국에서는 많은 보고가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는 질환이다.
산발적으로 발생하나 흔하고 증상이 경한 상염색체 우성인 형과 드물지만 증상이 심한 상염색체 열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임상양상으로 전두 및 부비융기, 비교의 확장 등의 안면골 변형, 뇌신경 압박에 의한 뇌신경병증, 두개내압 증가 등의 다양한 소견이 함께 동반되거나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한다.1)13)
최근 저자들은 청력감소와 어지럼증을 주소로 내원한 18세 여자 환자에서 특징적인 두개안면부 및 상완골의 골격변화와 안면 마비, 시력감소를 보이는 두개골간단 이형성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환자는 18세 여자환자로 3년 전부터 서서히 진행하는 우측 청력감소와 어지럼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7년전부터 양측 시력손실이 있었고, 최근 1년전에 삼출성중이염으로 양측 환기관 삽입술을 시행한 과거력이 있었다. 가족력상 환자의 아버지는 양측 청각장애자이고 어머니는 정신지체자였다. 이학적 검사상 양측 고막은 비후된 소견 외엔 특이소견 없었고, 안면부에서는 House-Brackman Grade II 정도의 우측 안면마비와 비교의 확장이 관찰되었다. Weber검사상 좌측으로 편위 되었고, 좌측으로 50회/분의 자발 안진과 함께 100회/분의 주시 안진 소견이 관찰되었다. 안과에서 시행한 시력검사에서 양측 모두 광각(light perception)소견을 보였다.
내원당시 시행한 순음 및 어음청력검사에서 우측은 40/65 dBHL(골도청력/기도청력), 50%이었고, 좌측은 15/35 dBHL, 100%으로 양측 모두 저음역에서의 청력감소소견을 보인 혼합성 난청소견을 보여주었다(Fig. 1).
두개골 단순 X선 촬영상 두개골과 안면골의 비후된 소견을 보였고(Fig. 2), 부비동 단순 X선 촬영에서는 양측 상악동, 사골동의 발육 저하와 양측 전두동, 접형동의 형성부전 소견을 보였으며 장골단순 X선 촬영(long bone series)상 상완골(humerus), 척골(ulnar), 요골(radius)의 골간단(metaphysis) 및 골간(diaphysis)의 확장된 소견을 보여 주었다(Fig. 3). 측두골 단층촬영에서는 양측 내이도의 협착과 함께 두개골은 전체적으로 비후되었고 중이강과 유양동은 작았으며 유양봉소는 함기화되지 않았으나 이소골과 내이는 정상소견을 보였다(Fig. 4). 3차원 안면골 단층촬영소견상 안면골의 과발육, 비교의 확장과 함께 안와격리증 소견을 보였다(Fig. 5).
혈액학적 검사상 헤모글로빈이 10 mg/dL으로 낮은 소견 외엔 다른 검사결과는 정상이었다.

고     찰

두개골간단 이형성증은 골화석증(osteopetrosis)의 일종으로 원시 해면골에 대한 파골성 흡수의 결여로 인한 연골내 골화의 장애로 발생하며, 이는 원시 해면골의 축적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골수강이 석회화된 원시적 연골로 대치되어 장골의 골간과 골간단부의 비후와 함께 두개 안면골에도 골과다형성증을 동반하는 두개골 경화증이다.2)6)
두개골간단 이형성증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불완전한 파골세포 기능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 연구에서 두개골간단 이형성증 환자의 파골세포들은 골 흡수에 영향을 주는 vacuolar proton pump에 대한 유전자발현이 부족했다라고 보고도 있다.22)
1969년 Gorlin 등은 두개골간단 이형성증의 상염색체 우성형과 열성형을 독립된 질병단위로 보고하였다. 상염색체 우성형의 경우 건강한 모습으로 정상적인 체격과 지능을 갖추면서 특별한 전신증상이나 병적골절, 조혈장애도 없는 상태로 현재까지 50
~100예 정도의 환자가 보고되고 있고,1) 상염색체 열성형의 경우 우성형보다 드물고 증상이 심한 경우로서 심한 골의 과발육으로 안면골 변형, 심한 뇌신경병증으로 현재까지 10예 미만의 환자들이 보고 되고 있다.
임상양상으로는 특징적인 안면골 변형, 뇌신경병증, 두개내압 증가 등의 증상을 보여 준다.특징적인 안면골 변형으로는 넓고 납작한 코, 안와격리증, 전두비부의 돌출, 상악 전돌출증, 부정교합 등이 있고 변형이 심한경우 여러 다른 질환(Paget's disease, 섬유성 골 이형성증)에서도 보이는 사자안(leonine facies, or leontiasis)을 형성하게 된다.8) 뇌신경병증으로는 전음성 또는 감각신경성 난청, 안면마비, 실명, 안진, 정신지체 등의 소견이 함께 동반되어 나타나거나 또는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1)11) 뇌신경병증의 병인으로는 두개저의 골과다 형성증과 경화증으로 인해 두개공이 협소해져 두개신경이 압박되어 신경의 퇴화 또는 마비로 인해 발생하는데 안신경 위축이 가장 흔하며 이외에도 안면신경, 청신경, 전정신경 등의 뇌신경의 압박으로 안면마비, 청력감소, 전정기능 감소 등이 발생한다.12)16)18) 안면신경에 병발한 경우 보통 일측 혹은 양측 안면 마비가 발생하는데 이런 안면 마비는 유아기에서는 변동성을 나타내지만 성인에서는 영구적인 양상을 보여준다.1) 청신경 및 내이에 병발한 경우 일측성 또는 양측성 청력감소가 발생하는 데 감각신경성 난청 또는 전음성 난청이 발생한다. 전음성 난청은 주로 중이의 골성분인 이소골, 유스타키안 관의 폐쇄,10) 기도나 부비동의 해부학적 이상으로 인한 상기도 감염 때문에 발생하는데 종종 감각신경성 난청과 동반되어 혼합형 난청을 유발하기도 한다.1) 그 밖에 동안신경, 활차신경, 삼차신경 등의 뇌신경에 병발하기도 하며 후각신경에 대한 침범도 자주 발생하나 다른 원인의 코막힘으로 인해 인식을 못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또한 코의 비갑개, 서골, 구개골, 익상골의 비후로 인한 코막힘은 구호흡을 야기하기도 하며 이외에 부비동, 유양동의 소실 및 비루관 폐쇄 등의 변화가 발생하기도 한다.10)
본 환자에서도 양측 내이도 협착에 의한 청신경병증으로 인한 감각 신경성 난청과 함께 빈번한 중이염이나 이소골의 이상으로 생각되어지는 전음성 난청으로 혼합성 난청양상을 보여주며 또한 우측 안면신경병증으로 인한 안면마비, 전정신경병증으로 인한 전정기능감소와 그에 따른 어지럼증 소견을 보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지능은 정상이며 부검시 협소한 두개공을 볼 수 있는데 드물게 대후두공(foramen magnum)의 협착으로 인해 2명의 환자가 편측부전마비, 편측감각상실과 함께 사망했다는 보고도 있으며10)15)21) 뇌수종이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7)
진단을 위해서는 특징적인 임상양상과 함께 방사선학적 검사가 필요하다.19) 두개골간단 이형성증의 방사선학적인 주요한 양상으로는 두개저의 골 과형성증 및 경화증, 비후된 두개골과 함께 장골 골간단의 비후 소견이다. 이들 장골들은 비경화양상이며 비후된 부위의 골피질은 얇고 주로 대퇴골의 원위부와 경골과 비골의 근위부에서 잘 발생하여 어린이의 경우 "Erlenmeyer flask"소견을 보이며 어른에서는 곤봉모양(club shape)의 소견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척추와 골반은 정상이며 쇄골의 내측부위인 늑연골접합부에 비후소견이 보이기도 한다.8)14) 두 개저의 경우 상염색체 우성형에서는 두개저 경화증 및 비후는 심하지 않고, 보통 두개봉합선을 따라 골경화가 발생하며 상염색체 열성형에서는 두개저에 심한 경화증과 과골증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감별 진단해야 할 질환으로 골간단 이형성증(metaphyseal dysplasia, Pyle's disease)과 섬유성 골 이형성증 등이 있는데, 골간단 이형성증은 상염색체 열성유전으로 장골의 골간단, 골간의 비후를 특징으로 하면서 두개골 경화증이 없으면서 최소의 뇌신경병증를 나타낸다.5)13) 섬유성 골 이형성증은 골모세포분화의 장애로 뼈가 섬유성 조직으로 대체된 골과형성 상태로 기형 및 병적 골절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비정상적인 골 부위가 유아기동안 비대되어졌다가 사춘기 이후에 안정화되는 경향을 가지며 임상적으로 두개부의 국소팽창으로 인해 두통, 안구돌출, 뇌신경압박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방사선학적으로 병변부위가 낭성모양이거나 팽창성의 종괴를 보여주며 특징적으로 간유리 모양(ground glass appearance)을 나타낸다.3)
두개 골간단 이형성증의 치료로 약물요법과 수술요법이 고려될 수 있으며, 약물요법으로는 현재 calcitonin, calcitriol이 시도되고 있다.4)9) Calcitonin은 골형성의 억제효과로서 성인 Paget's 병의 조절에 효과적인 제재로 확립되고 있으며 Calcitriol은 파골세포형성을 증가시켜 골 흡수를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약물을 통해 안면마비호전, 두개저의 골격탈회(demineralization)의 소견이 관찰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형성골은 고도 무기질화로 인하여 두꺼운 상아와 같은 경도를 가져서 수술적 제거는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신 두개안면골 정복술(craniofacial reduction)이 시행되고 있는데, 진행성의 시력감소에 대한 시신경 감압술은 성공,17) 실패16)가 각각 보고되었으며, 안면 신경마비에 대한 안면 신경감압술에 대해서는 만족스런 결과를 보여주는 보고가 있다.5)20)
전음성난청에 대해서는 시험적 고실 개방술(middle ear exploration)과 전이소골 치환술(total ossicular replacement prothesis(TORP) implantation)을 시행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다.18) 이 질환의 예후는 질환의 유전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임상양상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본 증례의 경우 내과적 치료로 Calcitonin과 저칼슘 식이를 시행중이며 혼합성난청에 대해 보청기와 시험적 고실개방술을 권유하였고 어지러움증에 대해 전정보상을 위한 전정재활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두개골간단 이형성증은 치료 및 예후 판정을 위하여 정확한 임상 진찰 및 유전학적 상담과 함께 한가지의 치료방법보다는 동반된 증상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향후 질환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REFERENCES

  1. Beighton P. Craniometaphyseal dysplasia (CMD), autosomal dominant form. J Med Genet 1995;32(5):370-4.

  2. Beighton P, Horan F, Hamersma H. A review of the osteopetroses. Postgrad Med J 1977;53:507-16.

  3. Doran SE, Gebarski SS, Hoff JT. Tumors of the skull. In: Neurological Surgery (ed. Youmans J), 4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96;vol 4:2998-3023.

  4. Fanconi S, Fischer JA, Wieland P, Giedion A, Boltshauser E, Olah AJ, et al. Craniometaphyseal dysplasia with increased bone turnover and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Therapeutic effect of calcitonin. J Pediatr 1998;112:587-91.

  5. Gorlin RJ, Spranger J, Koszalka MF. Genetic craniotubular bone dysplasias and hyperostoses: A critical analysis. Birth Defects 1969;5:79-95.

  6. Greenspan A. Sclerosing bone dysplasias: A target-site approach. Skeletal Radiol 1991;20:561-83.

  7. Hudgins RJ, Edwards MS. Craniometaphyseal dysplasia associated with hydrocephalus: Case report. Neurosurgery 1987;20:617-8.

  8. Jackson WPU, Albright F, Drewry G, Hanelin J, Rubin MI. Metaphyseal dysplasia, epiphyseal dysplasia, diaphyseal dysplasia, and related conditions. Arch Intern Med 1954;94:871-910.

  9. Key LJ, Volberg F, Baron R, Anast CS. Treatment of craniometaphyseal dysplasia with calcitriol. J Pediatr 1988;112:583-7.

  10. Kietzer G, Paparella MM. Otolaryngological disorders in craniometaphyseal dysplasia. Laryngoscope 1969;79:921-41.

  11. Miller A, Lehman R. Unusual Audiological Findings in Craniometaphyseal Dysplasia. Arch. Otolaryngol. 1969;89:861-4.

  12. Morgan DW, Aldren C, Hoare TJ. Hearing loss due to cranio-metaphysial dysplasia. J Laryngol Otol 1990;104:807-8.

  13. Penchaszadeh VB, Gutierrez ER, Figueroa E. Autosomal recessive craniometaphyseal dysplasia. Am J Med Genet 1980;5:43-55.

  14. Ramseyer LT, Leonard JC, Stacy TM. Bone scan findings in craniometaphyseal dysplasia. Clin Nucl Med 1993;18:137-9.

  15. Day RA, Park TS, Ojemann JG, Kaufman BA. Foramen magnum decompression for cervicomedullary encroachment in cranio-metaphyseal dysplasia; case report. Neurosurgery 1997;41(4):960-4.

  16. Satoh K, Iwata T, Ikeda H. Unsuccessful consequence of optic canal decompression for a case of craniometaphyseal dysplasia. Plast Reconstr Surg 1994;94:705-8.

  17. Scott RM, Wolpert SM, Pashayan HM. Progressive optic nerve compression in craniometaphyseal dysplasia. Concepts Pediatr Neurosurg 1983;4:208-18.

  18. Shea J, Gerbe R, Ayani N. Craniometaphyseal dysplasia: The first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for associated hearing loss. Laryngoscope 1981;91:1369-74.

  19. Spiro PC, Hamersma H, Beighton P. Radiology of the autosomal dominant form of craniometaphyseal dysplasia. S Afr Med J 1975;49:839-42.

  20. Stool SE, Caruso VG. Cranial metaphyseal dysplasia: Otolaryngologic aspects. Arch Otolaryngol 1973;97:410-2.

  21. Yamada H, Yamanaka T, Tanaka Y, Nakamura S. Cervical spinal deformity in craniometaphyseal dysplasia. Surg Neurol 1987;27:284-90.

  22. Yamamoto T, Kurihara N, Yamaoka K, Ozono K, Okada M, Yamamoto K, et al. Bone marrow-derived osteoclastlike cells from a patient with craniometaphyseal dysplasia lack expression of osteoclast-reactive vacuolar proton pump. J Clin Invest 1993;91:362-7.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METRICS Graph View
  • 1,212 View
  • 7 Download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