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A Case of Iatrogenic Epidermoid Cyst in the Temporal Bone Following Tympanoplasty through Retroauricular Approach.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Auditory and vestibular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11;15(1):48-51.
A Case of Iatrogenic Epidermoid Cyst in the Temporal Bone Following Tympanoplasty through Retroauricular Approach.
Jong Min Lee, Soo Ryang Chae, Jee Nam Song, Jae Hyun Seo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revivalseo@catholic.ac.kr
Abstract
Iatrogenic epidermoid cyst of the retroauricular area after ear surgery is extremely unusual. Epidermoid cyst is an intradermal or subcutaneous sac-like structure which is lined with well differentiated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containing keratohyalin granules. These cysts are thought to arise as a result of implantation of epidermal cells into the deeper dermal elements by trauma or previous surgery. We report a 42-year-old female with retroauricular epidermoid cyst invading into the temporal bone who underwent tympanoplasty 15 years ago. The lesion was surgically excise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an epidermoid cyst. Therefore we report the case along with review of literature.
Keywords: Epidermoid cyst;Temporal bone;Tympanoplasty

Address for correspondence : Jae-Hyun Seo,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 Sosa-dong, Wonmi-gu, Bucheon 420-717, Korea
Tel : +82-32-340-7093, Fax : +82-32-340-2674, E-mail : revivalseo@catholic.ac.kr

서     론


표피낭종(epidermoid cyst)은 표피 세포들이 진피 내에서 증식하면서 낭종을 형성하고 낭종 내에 이로부터 생성된 각화물질들이 쌓이는 비교적 흔한 양성 종양이다.1) 병리학적으로 여러층의 상피세포로 구성된 낭종벽 내에 각화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피부 부속기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피낭종(dermoid cyst)과 구분된다.2) 수술이나 외상 후에 발생한 표피낭종은 진피 내로 유입된 표피의 절편에서 유래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과적 수술 후에 발생한 표피낭종이 측두골, 이하선, 경부 등에 발생한 경우가 보고 된 바 있었으나,3,4,5,6) 고실성형술 후에 발생한 표피낭종이 측두골을 침범한 증례는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최근 저자들은 후이개 접근법을 통한 고실 성형술을 시행받고 15년이 지난 후에 동측 후이개 부위에 발생한 낭성 종물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수술적으로 종물을 제거한 후에 측두골을 침범한 표피낭종으로 확진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43세 여자 환자가 5개월 전부터 촉지된 좌측 후이개 부위의 무통성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5년 전에 후이개접근법을 통하여 좌측 고실 성형술을 시행한 과거력 외에 특이한 과거력이나 가족력은 없었다. 이학적 검사상 약 2×1.5 cm의 무동성의 융기된 무통성 종물이 후이개 부위에 관찰되었으며, 종물의 표면의 피부에는 이전 고실 성형술로 인한 흉터가 있었으나 누공 등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1). 양측 고막 및 외이도는 정상 소견이었으며, 양측 모두 정상 청력이었다.
경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좌측 측두골 첨부에 2×1.7 cm의 비교적 내부 음영이 균질하며 조영증강 되지 않는 종괴가 후이개로 돌출된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인접 조직의 침윤이나 임파선 비대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2).
환자의 병력, 이학적 검사, 및 방사선 소견으로 측두골에 국한된 표피낭종이 의심되었으며, 전신마취 하에 후이개 접근법을 통한 종물적출술을 계획하였다. 수술 소견상 약 2.5×2 cm크기의 종물은 주변 조직과 연접하여 있었으나 유착은 심하지 않아 피막의 손상 없이 완전히 적출하였다. 종물을 제거하자 측두골 유양부 피골의 미란으로 인한 함요가 관찰되었고 부분적으로 유양동 함기세포의 노출도 관찰되었으며, 함요의 상부로는 뇌경막이 1×0.5 cm 가량 노출되었으나 뇌척수액 유출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3).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잔류 피막이 남을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두골의 함요 부위에 드릴을 시행하였다. 적출된 종물은 2.5×2.0 cm 크기였으며 내부에 피지나 모발 등의 피부 부속기는 육안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낭종의 벽은 편평상피로 이루어져 있고 피부부속기는 관찰되지 않으므로 표피낭종으로 확진되었다(Fig. 4).
환자는 수술 후 6개월이 지난 현재 특별한 합병증 및 재발 없이 외래에서 추적관찰 중이다.

고     찰

표피낭종은 비교적 흔한 피부의 양성 종양으로, 유피낭종(dermoid cyst)의 세가지 낭종 형태 중에 하나이며 머리털, 모낭, 한선, 피지선과 같은 피부부속기가 없는 표피로 이루어진 낭종이다.1) 유피낭종의 다른 두 개의 낭종 형태로는 유피낭종과 기형낭종(teratoid cyst)이 있는데, 유피낭종은 표피낭종과는 달리 피부 부속기를 포함하는 낭종이며, 기형낭종은 피부부속기와 함께 뼈, 근육과 같은 결체 조직 유도체까지 존재하는 낭종이다.7) 표피낭종은 병리 조직상 정상 상피조직과 유사한 케라토히알린 과립을 함유한 여러층의 상피세포 이루어진 낭종 벽을 가지고 내부에는 잘 성숙된 각질화 과립을 함유하며, 병변이 진행됨에 따라 낭종벽은 위축된다.8) 호발 부위는 안면, 두피, 경부, 체부이고 보통 1 cm 이하에서 수 cm까지 다양한 크기를 나타낸다.1) 발생 연령은 사춘기에서 장년기까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될 수 있지만 주로 성인에서 호발하고 소아에서는 드물다고 알려져 있으며, 남녀 비는 차이가 없다.9)
표피낭종의 발생기전으로는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도 정설은 없다. 모낭 입구의 막힘, 침투외상(penetrating injury) 후 표피세포가 진피내로 이식된 후 증식이 되어서 발생한다는 가설이 가장 설득력이 있지만, 그 외에 태생기 융합면(embryonal fusion plane)을 따라 표피세포가 진피내로 포착되어 발생한다는 가설이나 인유두종바이러스(HPV)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는 가설도 있다.2,10,11) 본 증례에서도 과거에 시행한 고실성형술시 후이개 피부 절개부를 통해서 상피세포가 진피 내로 함입되어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임상증상은 일반적으로는 본 증례에서와 같이 특별한 증상이 없고 무통성의, 천천히 자라며, 둥글게 융기된 종괴가 발견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낭종의 발생위치와 크기에 따라 주위 조직을 압박하여 생기는 증상들이 발생할 수 있다.2) 병변 초기에는 가동성이 있는 둥굴게 융기된 종괴의 양상을 보이나 병변이 진행됨에 따라 표면은 창백하거나 황색을 띌 수 있다.9) 낭종에 2차적 감염이 동반되는 경우 갑자기 크기가 증가되고 피부의 홍반 및 압통이 발생하기도 한다.10)
표피낭종은 이학적 검사만으로 진단하기는 어려우며 수술 전에 진단 및 치료계획에 도움을 얻기 위해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세침흡인검사, 초음파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으나 확진을 위해서는 낭종을 적출하여 조직학적 진단을 해야 한다.
후이개 부위에 발생하여 측두골을 침범한 낭성 종괴의 경우 표피낭종과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는 앞서 기술한 유피낭종과 기형낭종 외에 피지선종, 지방종, 혈관종, 새열낭종 등이 있다.12) 피지선종은 대부분 두피내에 발생하는 것으로서 일부 피부부속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낭종 내에 비정형성 각질과 함께 국소적인 석회화나 콜레스테롤 열(cholesterol cleft) 등이 관찰된다.13) 지방종은 지방조직을 함유한 무통성 종괴로서 쉽게 감별이 가능하며, 혈관종은 조직내에 풍부한 혈관내피세포를 지니고 있고, 새열낭종은 중층편평상피와 중층 섬모원주상피가 혼재되어 있으며 연골 등의 중배엽성 조직이 발견된다는 점으로 감별이 가능하다.13,14) 본 중례에서는 후이개 접근법을 통한 고실성형술의 과거력이 있고, 당시 피부절개부와 동일 부위에 발생한 종괴이며, 방사선학적 소견 등을 종합할 때 수술 후 발생한 표피낭종임을 쉽게 추정할 수 있었고 조직검사 결과를 통해서 확진하였다.
표피낭종의 치료는 수술적 적출로 낭종을 완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피낭종은 대개 긴급한 수술을 요하지 않으며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지만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얻거나 감염을 예방하고 미용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실시한다.4,13) 대부분의 다른 양성종양에서와 같이 낭종이 불완전하게 절제되어 낭종벽의 잔유물이 남은 경우에는 재발의 가능성이 있으며, 악성화는 보고 되지 않았다.2)
고실성형술은 이과 영역에서 가장 친숙한 수술의 하나이며 후이개 접근법을 통해서 시행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데, 본 증례에서와 같이 후이개 피부절개 부위에서 진피 내로 유입된 피부의 절편에 의해 표피낭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절개 및 일차봉합시에 표피가 함입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Silver SG, Ho VCG. Benign epithelial tumors, In: Freedberg IM, Eisen AZ, Wolff K, Austen KF, Goldsmith LA, Katz SI, editors.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6th ed. New York: Mcgraw-Hill;2003. p.778-9. 

  2. Chung C, Lee BJ, Ahn SK, Song DH, Lee WS, Kim SC. A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study of epidermal cysts. Korean J Dermatol 1993;31:517-22. 

  3. Tovi F, Bartal N, Zirkin C. Epidermal cysts of temporal fossa: an unusual complication of ear surgery. Ann Otol Rhinol Laryngol 1985;94:162-4.

  4. Fliss DM, Puterman M, Tovi F. Iatrogenic cholesteatoma of the neck. Head Neck 1989;11:558-61.

  5. Thompson AC, Bradley PJ. Iatrogenic epidermoid cyst of the parotid region following ear surgery. J Laryngol Otol 1991;105:227-8.

  6. Ozcan KM, Dere H, Ozcan I, Gun T, Unal T. An epidermal cyst in the parotid gland following ear surgery: a case report. B-ENT 2006;2:193-5.

  7. MEYER I. Dermoid cysts (dermoids) of the floor of the mouth.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55;8:1149-64.

  8. Kirkham N. Tumors and cysts of the epidermis, In: Elder DE, editors. Lever's histopathology of the skin. 10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8. p.800-2. 

  9. Cho HM, Kim SN. A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y of 324 Cases of Epidermal Cyst. Korean J Dermatol 2007;45:242-8.

  10. Rios Arizpe S, Ocampo Candiani J. Giant epidermoid cyst: clinical aspect and surgical management. J Dermatol Surg Oncol 1986;12:734-6.

  11. Lee SJ, Ryu HS, Kim DW, Na GY, Sohn MH, Kim MK, et al. Demonstr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60 in the Palmoplantar Epidermal Cysts. Korean J Dermatol 2002;40:1195-202.

  12. Bauer DJ, Diwan R, Honig BK, Yokel B. Large asymptomatic mass on the ear. Dermoid cyst of the auricle. Arch Dermatol 1994;130:913-4, 916-7.

  13. Samper A, Ruiz de Erenchun R, Yeste L, Bazan A. Dermoid cyst on the auriculotemporal area. Plast Reconstr Surg 2000;106:947-8. 

  14. De Souza BA, Dey C, Carver N. A rare case of dermoid cyst behind the ear. Plast Reconstr Surg 2003;112:1972.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METRICS Graph View
  • 1,513 View
  • 9 Download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