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A Study on the Benefit of Hearing Aids in Geriatrics with Presbyacusis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Hearing aid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6;10(2):116-121.
A Study on the Benefit of Hearing Aids in Geriatrics with Presbyacusis
Chin Pae Kim1, Bin Na Hong2, Kyoung Won Lee3, Jung Hak Lee4
1Department of Rehabilit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Hallym University, Chuncheon
2Department of Speech Pathology & Aodiology, Nambu Univer-sity, Gwangju
3Division of Speech Pathology Aud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llym Un
노인성 난청인의 보청기 착용효과에 대한 연구
김진배1, 홍빛나2, 이경원3, 이정학4
1한림대학교 보건대학원 재활학과
2남부대학교 언어치료청각학과
3한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언어청각학부
Abstract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enefit of hearing aids in geriatrics with presbycusis. 

Method:Twenty one subjects with mild-to-profound sensorineural hearing loss were monaurally or binaurally fitted with programmable or digital type of hearing aids. The hearing aid benefit was obtained with respect to functional gain, listening ability and hearing handicap. 

Results:The average functional gains were 16.58 dB in the hearing sensitivity and 40.76% in the word recognition score respectively. The hearing handicap was decreased by 19.62 points with respect to the Korean hearing handicap index (KHHIE).

Conclusion:Results indicate that geriatrics with hearing loss benefit from hearing aids in terms of hearing handicap as well as hearing ability. 

Keywords: Presbyacusis;Hearing aid benefit;Functional gain;Hearing handicap.

교신저자:이정학, 431-070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896
교신저자:전화) (031) 380-3792, 전송) (031) 380-3794, E-mail:leejh@hallym.ac.kr

서     론


생의학 및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구통계학적 변천은 전 세계적으로 인구노령화 측면에서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인구노령화도 갈수록 그 정도가 심화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1)에 의하면, 2006년 노인인구는 9.5%로써 고령화사회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노인과 관련된 문제들은 사회 문제로 까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노인성난청은 관절염, 고혈압 등과 더불어 노년층에 가장 보편적으로 보고 된 만성질환 중 하나이다. Schuknech2)는 노인성난청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병리학적 기초에 의거하여 감각성(sensory), 신경성(neural), 대사성(metabolic or strial) 그리고 와우전도성(cochlear conductive)으로 구분하였다. 이중 감각성과 대사성 난청은 쾌적 역치에서 낱말재인도(word recognition score, WRS)가 보통 50%가 넘기 때문에 보청기 효과와 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높은 편이나, 신경성 난청은 어음이해도가 50% 이하로 청력역치의 예상 정도보다 많이 떨어져 보청기의 착용 효과와 만족도도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신경성 난청은 노인성 난청의 유형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아 많은 수의 노인성 난청인들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신경성으로 인한 노인성 난청인의 낱말재인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보청기 증폭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가족이나 친지들의 적극적인 이해와 배려로 노인성 난청인이 화자의 입술과 표정, 제스처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정면에서 말을 하고, 가능한 천천히 또박또박 말을 하며, 알아듣지 못하였을 때 동일한 단어나 구절을 그대로 반복할 것이 아니라 다른 표현으로 풀어서 말해주는 등 세심한 배려가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3)
본 연구에서는 노인성 난청인이 적절한 보청기를 처방 받고 착용한 후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보청기 착용 전후의 순음청력역치를 비교하고, 둘째 보청기 착용 전후의 낱말재인도를 비교하고, 설문지를 활용하여 보청기 착용 전 후의 청각장애지수의 변화정도를 비교함으로써 노인성 난청인의 청각재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 대상의 노인성 난청 판단기준은 Katsarks4)의 방식을 참고하여 처음 방문 상담 시 문진 방법으로 청력손실의 가족력이 없으며, 과거 소음노출, 이(耳)질환, 돌발성 난청, 고혈압과 같은 이과적 문제가 없는 경우로 만 60세 이상 노인 중 순음청력역치가 25 dBHL 이상인 감각신경성 난청인 경우를 노인성 난청으로 하였다.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는 21명(남:6명, 여:15명)은 60
~69세가 5명, 70~79세가 11명, 80~89세가 4명, 90~99세가 1명으로 평균 74.95세였다.

연구절차

연구 방법은 순음청력역치와 50 dBHL에서 낱말재인도 검사 그리고 "한국 노인성 난청의 청각장애지수(Korean hearing handicap index, KHHIE)"(부록)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보청기 착용 전과 보청기 착용 2개월 후에 실시했다. 보청기 착용시의 검사는 음장(sound field)에서 피검자를 스피커 앞 1 m 위치에 앉히고, 검사귀가 스피커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였다. 결과 분석은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version 6.12를 이용하였다.

결     과

평균청력역치와 청력손실정도

오른쪽 귀가 왼쪽 귀보다는 약간 낮은 청력역치를 나타냈고, 4 kHz까지는 50
~60 dBHL의 역치를 나타냈으나 그 이상의 고주파수에서는 80 dBHL이상으로 역치가 상승하는 형태를 나타냈다(Fig. 1).
오른쪽과 왼쪽 귀에서 경도난청(26
~40 dBHL)은 각각 14.0%와 8.8%였고, 중도난청(41~55 dBHL)은 20.4%와 31.7%, 중고도난청(56~70 dBHL)은 21.3%와 34.9%, 고도난청(70~90 dBHL)은 18.7%와 18.3% 그리고 심도난청(91 dBHL 이상)은 5.5%와 5.6%로 나타났다(Fig. 2). 오른쪽과 왼쪽 귀의 난청정도를 살펴보면, 왼쪽 귀는 중도난청과 중고도난청에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오른쪽 귀는 왼쪽 귀에 비해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보청기착용 전후의 순음청력역치와 낱말재인도 비교

보청기 착용 전의 순음청력역치의 평균은 52.93 dBHL이었는데, 보청기 착용 후의 평균역치는 36.35 dBHL로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1). 주파수 대역별로 차이를 보면 모든 주파수에서 12
~25 dB 정도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3 kHz에서 이득이 가장 컸고, 250 Hz에서 가장 작았다(Fig. 3).
보청기를 착용하기 전의 평균 낱말재인도는 27.52% 이었고, 착용한 후는 76.29%로 40.76%가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보청기를 착용하기 전의 낱말재인도를 퍼센트 별로 구분하여, 보청기 착용 후의 변화량을 분석해보았다. 보청기 착용 전 낱말재인도가 0
~10%에 속해 있는 10명의 평균은 3.6%였으나 보청기 착용 후에는 72.3%로 68.7%가 향상되었고, 11~20%에 속해 있는 2명의 평균은 14%였으나 보청기 착용 후에는 평균 90%로 76%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31~40%에 속해 있는 3명의 평균은 37.33%에서 60%로 22.67% 향상되었고. 41~50%에 속해 있는 1명은 42%에서 76%로 34% 증가했고, 51~60%에 속해 있는 2명은 평균 60%에서 92%로 32% 증가했고. 61~70%에 속해 있는 1명은 64%에서 82%로 18% 증가했고, 71~80%에 속해 있는 1명 76%에서 88%로 12% 향상되었고, 91~100%에 속해 있는 1명은 95%에서 100%로 5% 향상되었다. 보청기 착용 전의 낱말재인도가 0~20%인 경우가 가장 큰 증가량을 나타내었다. 

보청기 착용 전후의 청각장애지수 비교
 

난청으로 인하여 사회 심리적으로 느끼는 어려움의 상태를 KHHIE를 이용하여 평가했다. KHHIE는 사회적인 측면의 문항이 13개, 심리적인 측면의 문항이 12개로 구성되어 총 문항이 25개이고, 각 문항에서 '항상 그렇다(yes)'는 4점, '때로는 그렇다(sometimes)'는 2점, '그렇지 않다(no)'는 0점으로 청각장애지수는 0%에서 100%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점수가 높아지는 것은 청각장애로 인한 불편정도도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보청기를 착용하기 전에 나타난 평균 청각장애지수는 46%이었고, 2개월의 보청기 적응 기간을 거친 후 조사된 평균 청각장애지수는 26%으로 20% 낮아져 청각장애로 인한 사회적 심리적인 불편정도가 감소함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했을 때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 보청기 착용이 사회적 그리고 심리적인 청각 장애를 감소시키고 있음을 나타냈다(p<.05). 설문지 내 하위분류인 사회적 측면과 감정적 측면의 청각장애지수 변화를 보면, 사회적 측면은 보청기 착용 전 26%, 착용 후 15%로 11% 낮아졌고, 감정적 측면은 20%에서 12%로 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지의 각 문항에 대한 답변의 비율을 살펴보면, 보청기를 착용하기 전의 청각장애지수를 조사한 결과 '항상 그렇다'라고 표기한 비중은 29.%이고, '때로는 그렇다'는 34%이며, '그렇지 않다'는 37%로 나타났다. 보청기를 착용한 후의 분포 상태는 '항상 그렇다'가 9%, '때로는 그렇다'는 34%이며 '그렇지 않다'는 57%로 나타났다(Fig. 4).

고     찰

본 연구는 노인청 난청인의 보청기 효과에 대하여 평균청력역치, 낱말재인도, 청각장애지수 변화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평균청력역치는 보청기 착용 전보다 착용 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보청기 이득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났고, 주파수별로 분석 하였을 때 2 kHz에서 4 kHz 사이에 특히 그 효과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5)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득 효과도 점차 높아진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고주파수대역에 청력 손실이 큰 노인성난청의 특성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청기 선택 시에도 보청기의 수화기가 고막과 가까이 위치하여 고주파수의 출력을 증강시키고 보청기의 이득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고막형 보청기나 소음환경에서 청취 방법의 선택과 출력 및 이득의 조정이 가능한 디지털 보청기를 처방하여 노인성 난청의 특성에 적절히 보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고주파수 청력손실이 특징인 노인성 난청에서는 낱말재인도가 특히 더 저조한 편인데, 여러 가지 노인성 난청 원인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신경성 난청은 낱말재인도가 50% 이하로 노인성 난청인들의 보청기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 대상 중 절반 정도가 보청기 착용 전 어음 이해도가 0
~10%에 속했는데, 착용 후에는 평균 69%가 향상되어 매우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러한 개선 효과는 보청기 착용 전 어음 이해도가 높을수록 증가량은 낮아졌다. 결과적으로 보청기 착용 후 낱말재인도는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연구 대상자들에게 분명한 효과를 나타내어 낱말재인도 개선에 보청기의 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를 통한 보청기 착용 전후의 청각장애지수 평가에서도 보청기 착용 후 청각장애지수가 감소하여 보청기로 인해 청각 장애의 사회적 감정적 장애도 개선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보청기 착용 전 평균 청각장애지수는 46점이다가 착용 후 26점으로 20점이 감소하였다. 18점 이상이면 사회적 감정적으로 장애를 인식하는 것으로 분류했을 때 보청기 착용 후에도 청각 장애로 인한 불편은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6) 이는 선행연구들과도 일치하는 결과로 청각장애는 보청기의 착용 외에 다른 부분의 재활적 접근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노인성 난청은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단절을 초래하며 가족과 이웃 등 사회로부터 고립시키어 노년기를 더욱 외롭고 소외감 속에서 살도록 한다. 노인성 난청의 해결 방법 중에서 보청기 착용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은 보편적인 사실이지만, 노인성 난청인이 최대한의 보청기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보청기의 기술 개발은 물론, 난청의 정도와 유형을 진단할 수 있는 정확한 청력검사 절차와 보청기 처방이 선행되어야 한다. 노인성 난청인의 보청기 이득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보청기 증폭과 같은 물리적인 방법과 함께 난청인의 심리 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상담 및 재활 교육과 가족과 친지들의 적극적인 이해와 역할에 대한 필요성도 강조되어야 한다.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노인성 난청환자에 대한 보청기 착용전후의 효과를 분석했을 때 평균순음청력역치는 53 dBHL이었고 보청기 착용 역치는 평균 36 dBHL로 평균 17 dB이 개선되었다. 낱말재인도 평가에서는 보청기 착용 전 평균이 28%이었다가 보청기 착용 후에는 평균 76%로 약 38%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장애지수는 보청기 착용 전 평균이 46%이었고, 보청기 착용 후에는 평균 26%로 평균 20% 낮아져 노인성 난청인이 경험하게 되는 청각장애의 불편 정도가 보청기로 인하여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인성 난청의 극복을 위해서는 보청기의 사용과 함께 난청인의 심리 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상담 및 재활 교육과 가족과 친지들의 적극적인 이해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REFERENCES

  1. 통계청. 2006 고령화 통계. 통계청;2006.

  2. Schuknecht HF. Further observations on the pathology of presbycusis. Arch Otolaryngol 1964;80:369-82.

  3. Houston K, Todd MSP, Montgomery AA. Auditory-visual integration: A practical approach. Semi Hear 1997;18(2):141-51.

  4. Katsarkas A, Ayukawa H. Hearing loss due to aging (presbycusis). J Otolaryngol 1986;15:239-44.

  5. 이정학. 노인성 난청의 보청기 효과. J Korea Gerontological Soc 1996;16(2):153-6. 

  6. Ventry IM, Weinstein B. The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 A new tool. Ear Hear 1982;3:128-34.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METRICS Graph View
  • 1,439 View
  • 49 Download

Study of Hearing Aid Application with Hearing Aid Assess Meter2000 ;4(1)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