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A Case of Dermoid Cyst Nearly Obstructing the External Auditory Canal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Auditory and vestibular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9;13(3):255-257.
A Case of Dermoid Cyst Nearly Obstructing the External Auditory Canal
Seung Won Jeong1, Seung Hwan Lee1, Han Seok Yu1, Young Ha Oh2
1Departments of Otorhinolaryngology-Head Neck Surgery
2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외이도 폐쇄를 초래한 유피낭종 1예
정승원1, 이승환1, 유한석1, 오영하2
1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2병리학교실
Abstract

A dermoid cyst is a relatively rare congenital cystic disease and extremely rare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We report a case of a large cystic mass in the orifice of EAC that nearly obliterated the EAC. Under the microscope, the cyst was completely removed. Histologic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mass was a dermoid cyst. Three months later, the patient remains clinically healthy without recurrence.

Keywords: Dermoid cyst;External auditory canal.

Address for correspondence : Seung Hwan Lee,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249-1 Gyomun-dong, Guri 471-710, Korea
Tel : +82-31-560-2363, Fax : +82-31-566-4884, E-mail : Shleemd@hanyang.ac.kr


서     론

외이도의 완전 혹은 불완전한 폐쇄를 유발하는 질환은 선천적 질환과 후천적 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적 질환으로는 중이, 내이의 선천적인 결함과 동반되어 나타나며 후천적 질환으로는 외이도의 염증성 질환으로 인한 폐색이나 양성, 악성 종양으로 인한 폐색이 있다.
유피낭종은 신체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1)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는 비교적 드물며 주로 안와, 구강 그리고 비강에 주로 생기며 특히 외이도 입구부의 폐쇄를 유발할 정도의 보고된 증례는 매우 드물어2) 청력 저하와 외이도 폐쇄가 의심되어 내원한 환자에서 수술적 적출 후 유피 낭종으로 진단된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3세 여아가 청력검사를 목적으로 이비인후과 외래에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특이 소견이 없었으나 보호자 진술로는 출생시부터 외견상 외이도가 막혀있는 것을 인지하였고 그동안 특별한 진찰을 받지 않았다고 하였으며 최근에 청력 저하가 의심되어 내원하였다. 신체 검진상 좌측 이개는 정상 소견이었으나 외이도 입구부 하방에서 기시한 것으로 추정되는 비교적 둥근 모양의 종물이 발견되었고 이로 인해 외이도가 거의 막혀있는 소견이었다(Fig. 1). 과거력상 염증이나 이루 등의 병력은 없었다. 촉진시 비교적 부드러웠으며 압통의 소견은 없었다. 조심스럽게 종물을 압박한 후 외이도내의 이구전색(impacted cerumen)을 모두 제거하였다. 고막 소견은 정상이었다. 종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고 이소골 기형 등의 선천성 질환을 감별하기 위하여 측두골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외이도 후하부에서 기시한 것으로 추정되는 직경 약 15×9 mm의 비교적 타원형의 종물이 관찰되었고 내부의 낭성 물질이 있는 소견을 보였으며 음영(housefield unit)이 약 -10으로 종물 내부의 성상은 기름 성분으로 추측되었다(Fig. 2). 외이도에 발생한 선천적 종물로 생각하고 전신마취하 수술을 시행하였다. 현미경 시야하에 종물의 외측벽 가장 가까운 곳에 절개 후 종물을 주변조직과 박리하여 완전 적출하였다. 주변조직과 유착은 없었으며 벽이 얇아 종물의 일부분은 파열되었고 끈적한 비지와 같은 물질이 배출되었다. 수술 부위를 봉합하고 외이도 연골부를 merocel과 거즈를 이용하여 충전(packing) 후 수술을 종료하였다. 조직검사상 중층 편평 상피로 이루어진 피막과 피지선을 포함한 내부의 소견으로 유피낭종(dermoid cyst)으로 판정되었으며(Fig. 3), 술 후 약 3개월이 지난 현재 수술 부위의 재발 및 염증 소견은 없으며 외이도는 잘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Fig. 4).


고     찰

유피낭종은 표피양낭, 유피낭, 기형양낭(teratoid cyst)의 개념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는데 엄밀한 의미로 표피양낭의 경우 모낭, 피지선 등과 같은 피부 부속기가 없는 표피가 안에 덮혀있는 낭이며, 본 증례와 같은 유피낭종은 피부 부속기가 포함되어 있는 낭을 의미한다. 피부 부속기와 함께 근육이나 골조직과 같은 구조가 포함되면 기형양낭이다.3) 유피낭종은 신체 어느 부위든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는 난소와 고환에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는 주로 안와, 구강저에서 많이 호발하며 이개에서는 드물고 특히 본 증례와 같이 외이도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유피낭종의 발생 기전은 아직까지 명백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크게 3가지 가설을 바탕에 두고 있는데 외상에 의하여 피부나 진피가 안으로 들어가 발생된다는 가설,4) 제1새열궁과 제2새열궁의 융합도중에 상피잔유물이 함유된다는 가설,5) 마지막으로 이개의 경우 상부이개를 이루는 제1새궁의 융합과정에서 선천성 봉입(inclusion)이 일어나 생긴다는 가설이 있다.6) 유피낭종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수술 전 전산화단층촬영이 진단 및 치료의 방침에 도움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낭종의 정확한 범위와 주변조직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본 증례의 경우도 외이도 후하방에 국한되고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소견을 얻을 수 있었다. 유피낭종의 경우 대개 무증상이고 크기가 증가하지 않거나 매우 느리게 증가하며 감염 등으로 크기가 증가하거나 통증이나 종물 부위의 발적 등 임상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5) 본 증례의 경우 외이도 입구부의 간접적인 폐쇄를 유발하여 외이도 이구 전색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청력이 떨어지는 증상을 호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소아에서 외이도에 발생한 낭성 종물의 경우 선천적 질환인 새열낭종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제1형 새열낭종의 경우 외이도의 후하방에 존재하며 낭종, 동, 루의 형태를 이루며 빈번한 주변의 염증을 호소하는 면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명백한 염증의 병력이나 낭종, 동, 루 등이 초기에 발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술을 시행하고 조직검사로 판정되기 전까지는 두 질환을 명백히 구분하기는 어려우므로 새열낭종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술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그 외 지방종, 혈관종, 피지낭, 그리고 표피낭(epidermal cyst) 등과의 감별이 필요하며8)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만 구분이 가능하다. 술 전 세침흡입검사의 시행은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유피낭종의 경우 크림과 유사한 물질 및 각질 부스러기를 보일 수 있다. 본 증례의 경우 나이가 어린 이유로 시행하지 못하였다. 유피낭종의 일반적인 치료 원칙은 염증의 근원을 제거하고 미용적인 변형을 교정하는 목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재발방지를 위해 종물을 완전 적출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특히 본 증례의 경우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였다고 하며 외이도를 막고 있는 소견을 보여 장기간 방치시 전음성 청력손실을 유발 할 수 있기 때문에 발견 후 조기 치료를 하는 것이 합당하리라 생각되어 수술을 시행하였고 염증 소견이 없어 주변조직과의 박리가 용이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술 후 주의할 점으로는 종물 제거 후 수술 부위의 사강(dead space)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외이도를 충분한 시간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는 merocel을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여 약 2주간 외이도 연골부에 거치 후 제거하였다. 


REFERENCES

  1. Fuchshuber S, Grevers G, Issing WJ. Dermoid cyst of the floor of the mouth-a case report. Eur Arch Ororhinolaryngol 2002;259:60-2.

  2. Boo SH, Min MJ, Han CS. Multiple dermoid cyst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nt J Pediatric Otolaryngol Extra 2009;4:158-61.

  3. Meyer I. Dermoid cysts (dermoids) of the floor of the mouth.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55;8:1149-64.

  4. New GB, Erich JB. Dermoid cysts of the head and neck. Surg Gynecol Obstet 1937;65:48-55.

  5. King RC, Smith BR, Burk JL. Dermoid cyst in the floor of the mouth.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case repor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4;78:567-76.

  6. Ikeda M, Muti J, Imachi S. Dermoid cyst of the auricle: report of two cases. Auris Nasus Larynx 1990;16:193-7.

  7. Bauer DJ, Diwan R, Honig BJ, Yokel B. Large asymptomatic mass on the ear. Dermoid cyst of the auricle. Arch Dermatol 1994;130:913-4, 916-7.

  8. Lim CM, Goh YH, Chao SS, Lynne L. Pseudocyst of the auricle. Am J Otolaryngol 2005;26:1-6. 

  9. Pryor SG, Lewis JE, Weaver AL, Orvidas LJ. Pediatric dermoid cy sts of the head and neck.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5;132: 938-42.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