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Pharmacologic Treatment for Tinnitus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Phamacology, Auditory and vestibular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10;14(1):1-7.
Pharmacologic Treatment for Tinnitus
Chul Won Park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이명의 약물 치료
박철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ddress for correspondence : Chul Won Park,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17 Haengdang-dong, Seongdong-gu, Seoul 133-792, Korea
Tel:+82-2-2290-8580, Fax:+82-2-2293-3335, E-mail:cwpark@hanyang.ac.kr


서     론

이명은 외부의 청각적인 자극 없이 일어나는 소리의 인식을 의미하며 다양한 특성을 갖고, 복잡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astreboff 등1)은 와우내의 어떤 일치하는 기계적 진동 활동 없이 신경계 내에서의 활동에 의해 일어난 소리의 감지로 정의하였고, Lockwood 등2)은 이명을 머리 안에서 일어나는 ringing, roaring, buzzing, clicking sound라고 정의하였다. 이명은 증상이 주관적이며, 청각계의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하고, 중추신경계 및 정서와 깊은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치료가 어려울 뿐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노인 인구의 증가와 산업화 및 음향기구 착용에 따른 소음의 증가, 복잡해지는 생활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이명 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전체 성인의 30% 정도가 이명을 갖고 있으며 성인의 5%는 이명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고, 1%는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3)
현재까지 이명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명확한 병리생리학적 기전이 밝혀진 바가 없으나, 손상된 와우 유모세포에서 생성되는 이명 관련 신경 신호의 비정상적인 과 활동 결과에 의해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4) 이명을 호소하는 환자의 85%에서는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지고 있으며 이과 질환 환자의 85%에서 이명을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난청환자의 20%가 이명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명과 난청은 모두 청각 기관의 이상에 기인하며 난청과 동반되는 빈도가 많기 때문에 이명 환자들은 대개 이비인후과를 방문하게 되어 청력전문가가 이명 환자의 치료에 실질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Kirkwood5)는 아직 이명을 실질적으로 치료하지는 못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예에서 환자에게 더 나은 상태로 될 수 있다고 환자를 격려함으로써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고, Vernon과 Meikle6)은 의사가 환자에게 할 수 있는 최상의 진료 중에 하나가 이명 환자에게 격려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명의 치료는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한 가지는 이명을 일으키는 병리생태학적 기전을 차단하는 방법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환자가 이명과 관련된 우울감이나 초조, 불면증 등을 잘 견딜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치료가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 수술, 보청기, 자극 및 물리적 방법, 이명재훈련치료, 대체요법 등의 치료를 권하게 된다. 

이명의 약물 치료

이명의 약물 치료는 현재까지 다양한 약제가 소개되고 있으나 이명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은 약은 아직까지 없다. 따라서 치료에 쓰이는 모든 약물은 비록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라도 거의가 실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들 중 몇몇 약물은 대부분의 의사들이 정례적으로 처방되어 오고 있다. 
이명은 대부분 만성적이기 때문에 이명의 치료에 필요한 약물 선택에는 약물투여 양과 사용기간, 약물의 일시적, 영구적 부작용, 약물 의존이나 중독의 가능성, 금단 증상 또는 내성 여부, 정상적인 습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및 습관화 훈련에 방해가 되지 않는지 등을 반드시 충분히 고려하여 약물 선택을 해야 한다.3)
이명치료에 약물요법이 일차 선택으로 권장되지는 않지만 아직까지도 임상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므로 약물의 약리학적 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명 치료 약물은 주로 세 가지 약리 기전이 있는데, 첫째, 중추 신경계의 반응을 조절하여 신경 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 둘째, 직·간접적으로 와우 내의 반응변화를 유도하는 것, 셋째, 이명에 대한 환자의 내성을 도와주는 기전이다.7)
약물을 작용 부위에 따라 분류를 하면
1) 중추 신경계의 신경반응을 조절하는 약물
Anticonvulsants, GABAB 수용체에 선택적인 GABA analogue, quinoloxaline derivatives
2) 와우 내에서 반응을 조절하는 약물
Local anesthetics, calcium channel blocker, vasodilator, metabolites, diuretics
3) 이명을 견딜 수 있도록 도와주는 psychotropic drug
Antidepressants, benzodiazepines, tranquilizers, barbiturates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국소마취제(Local anesthetics) 

Lidocaine 
이명의 기전인 신경의 과활동성은 voltage or ligand gated channels의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조절된다고 알려져 있다. 많은 연구에서 lidocaine 정맥주사요법이 청각피질(auditory cortex)의 voltage-gated sodium channel을 차단하여 40
~70%의 환자에서 이명의 일시적인 소실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와우와 중추청각경로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작용기전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혈관을 확장시켜 내이 혈류를 개선함과 동시에 cochlear mocrophonics와 action potential을 감소시키고, 중추신경계의 비정상적인 과흥분성 경로를 억제하여 과민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다만 정맥용으로 사용해야 하며 짧은 기간에만 효과가 있고, 부작용으로 쇼크증상(혈압강하, 안면창백, 맥박이상, 호흡억제, 진전, 경련), 졸음, 불안, 구역, 구토, 언어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어 임상적인 제한점이 있다.
이명 억제에 대한 효과는 혈중 동맥농도 1.75
~3.5 μmol/L에서 용량 의존적(dose dependent)이며, 오히려 3.5 μmol/L 이상에서는 이명을 악화시킬 수 있다.4) 이러한 정맥 lido-caine치료는 보존적 이명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고려되어야 하고 18세 이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amide계 국소마취제에 과민반응이 있는 경우, 1도 심전도차단, 신부전, 급성 간기능장애가 있는 경우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Podoshin 등8)은 중이 환기관을 통하여 국소적으로 투약하는 방법으로 2% lidocaine 1 mL를 주당 5회씩 5주 동안 사용하여 치료를 마친 9명 중 1명에서는 이명의 완전 소실, 나머지에서는 이명의 호전을 보았다고 보고하였으나 심한 현훈이 동반될 수 있어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하였다.

Tocainide
부정맥 치료제로 개발된 lidocaine의 analogue로써 경구제재인 tocainide hydrochloride는 1,600
~3,000 mg을 하루에 4~5회 나누어 복용한다. 좀더 작용시간이 길고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lidocaine에 비해서는 효과가 떨어지며, Emmett과 Shea9)는 이중맹검 연구에서 효과가 없었다고 발표하였다. 심장전문의의 협조가 필요한 약물로 심혈관계 문제, 골수 기능 억제(blood dyscrasia)의 위험이 있어 임상적 사용이 어려운 약물이다. 
이외의 국소마취제로 Flecainide acetate, Mexiletine 등이 사용되나 이명의 치료 효과는 의문시 되고있다.

신경안정제 및 항불안제(Antianxiety agents, Anxiolytics)
Benzodiazepines, tranquilizers, barbiturates 등이 이에 속한다.

Benzodiazepines
Benzodiazepine은 이명에 가장 흔히 처방되는 약물로 항 불안, 진정효과를 가지고 있다. 많은 임상의사들이 이명 환자들이 가지는 불안과 스트레스 등을 감안하여 이명 약물치료에 Benzodiazepine을 사용하는데, 이는 GABA 수용체에 결합하여 GABA 활성을 증진시켜 흥분성 신경전달 물질의 차단을 유발하므로 이명이 청각중추로 가는 것을 억제하여 이명의 증상완화에 도움을 준다.10) 또한 이명에 의한 우울증에 수반하는 불안을 해소하고, 수면을 조장한다. Benzodiazepine 계열은 반감기에 따라 진정제, 신경안정제, 항경련제, 근육이완제로 사용될 수 있어 이명에 대한 효과가 각각 다르다.4) 가장 널리 쓰이는 alprazolam은 short-acting triazolobenzodiazepine으로서 일반적으로 하루 0.5
~ 1.0 mg씩 복용하나 주로 아침에 0.5 mg을 저녁에 1.0 mg을 복용하고 보통 6주 이상 사용하며 대부분 4개월 동안 사용한다. 복용 중지 후 재 사용시 기간은 1개월이다. John-son 등11)은 이중맹검법으로 17명 중 13명(76%)에서 이명 치료 효과를 보고하였다. Vernon과 Meikle6)도 이중맹검법으로 76%에서 증세의 경감을 가져왔다고 하였고 위약을 투여한 군에서는 1%의 호전을 가져왔다고 하였으며 환자들의 이명의 크기는 평균 투약 전 7.5 dB에서 투약 후 2.5 dB로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부작용으로는 중추신경억제, 구역, 구토, 설사, 변비, 두통, 시력장애, 구강건조감, 혼미(confusion), 의존성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졸음에 의해 운전 중이나 기계를 다루는 직업에서 약물의 사용을 주의하여야 한다.12) 중독성에 관하여는 Seidman과 Babu13)는 중독성이 일어난다고 보고하였고 Vernon과 Meikle6)은 중독성은 일어나지 않으나 습관성의 문제를 제시하여 투약을 중지할 경우 금단증상이 생기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에 반해 longer acting benzodiazepine인 diazepam은 이명의 감소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 또다른 long-acting benzodiazepine인 clonazepam을 0.5
~1 mg/day, 60~180 days 복용한 3,000명 이상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연구한 논문에 의하면 32%에서 이명과 그에 동반되는 불안, 초조감이 호전된 것으로 보고되었고,14) Murai 등15)은 다른 약제와 더불어 사용하여 33~56%의 효과를 얻었다고 하였다. 부작용으로는 무도증(chorea), 전신쇠약, 이상감각, 복시, 졸림, 행동변화, 피부발적, 빈혈, 타액과 기관지 점액 과다분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Benzodiazepine 계열은 임상적으로 많이 사용하지만 높은 약물의존도 및 인격 변화의 부작용에 대한 주의 및 약물을 끊은 후 지연성 이명이 보고되고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Barbiturates
Barbiturates는 중추신경억제제로서 불안 및 안정을 위해 사용되었는데 이명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92%에서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보고부터 효과가 없었다는 보고까지 다양하다. 항응고 효과가 있어 급성 포르피린 환자에서는 금기로 되어있다. 

항우울제(Antidepressants)
심한 이명 환자의 80%에서 MMPI상 우울증이 관련되어 있다고 하며 불면증을 동반한 이명 환자에서 효과가 있다. Tricyclic antidepressants인 nortriptyline, amitriptyline, trimipramine은 여러 연구에서 이명의 호전이 입증되었다. 이들의 작용기전을 보면 amitriptyline은 serotinin과 noradrenaline의 reuptake를 억제하는 반면, nortriptyline은 norepinephrine의 reuptake를 주로 억제하고, trimipramine은 dopamine과 serotonin의 postsynaptic receptor를 차단한다.4) 이는 항우울제가 이명의 강도에 직접적인 작용을 한다기 보다 동반된 우울과 불안이 해소됨으로써 증상 개선의 효과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Nortryptyline은 우울 증세를 보이는 환자에서 가장 명확한 효과를 보이는 약제로 하루 25 mg을 자기 전에 투여하고 1주일 동안 용량을 증가시켜 최대 100 mg까지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심한 이명으로 우울증과 불면증이 있는 여성에서 효과가 있고, 경부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Dobie 등16)은 6주 투여로 67%에서 효과가 있다고 하며 적게는 30
~40%에서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비교적 약한 이명에서는 효과가 없어 이명을 느끼는 것에는 변화가 없다고 한다. 기타 항우울제로 Amitryptyline, Fluoxetine, Paroxetine 등이 사용된다.
Tricyclic antidepressants의 부작용으로 기립성 저혈압, 빈맥, 오심, 구토, 진정작용, 정신운동장애, 정신집중장애, 근 위축, 추체외 증상, 파킨슨증 등이 생길 수 있다.

항경련제(Anticonvulsants)
주로 central hyperactivity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1979년 Melding과 Goodey17)이 처음 이명에 사용하여 효과를 보고하였다.
Carbamazepine은 voltage-gated sodium channels에 결합하여 sodium inactivation state를 안정화시키고, 신경활성화를 억제한다.18) 일반적으로 lidocaine의 작용 기전과 비슷하여 lidocaine으로 시도하여 효과가 있는 경우 경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lidocaine에 효과가 없었던 환자들에게 이 약제를 투여시 효과가 대부분 없다. 하루 세번 100 mg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용량을 증량시켜 600
~1,000 mg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lidocaine에 비해 효과는 떨어지지만 lidocaine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의 80%에서 이명의 호전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9) Sanchez 등20)은 76%에서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 2% lidocaine chloridrate를 정주하여 이명의 일시적인 감소를 보인 환자 50명에게 carbamazepine을 점차 증량하여 경구 투여했을 경우 18%에서 이명의 완전소실, 32%에서 현저한 호전, 26%에서 부분적인 호전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부작용으로는 어지럼, 위장장애, 피부발진, 백혈구 감소, 저혈압, 간기능장애, 혈액장애 등이 있는데, 심한 골수기능억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말초혈액의 백혈구 수치를 자주 검사하여야 한다. 
Phenytoin sodium은 carbamazepine을 복용할 수 없거나 과민증이 있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데 처음 하루 30 mg씩 3번 복용하였다가 매주 점차 사용량을 늘려 궁극적으로 하루 100 mg씩 복용하며, 이 때 혈중약물 용량 및 백혈구수치를 점검해야 한다. Primidone(Mysoline)은 삼차신경통에 효과가 있는 항경련제이나 부작용으로 심한 진정과 빈혈이 보고되어 있다.

Gamma aminobutyric acid(GABA) agonists
Baclofen은 GABAB receptor에 선택적인 GABA analogue로써 삼차신경통의 치료에 사용되고, 근육 긴장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21) 동물실험에서 L-Baclofen은 cochlear nucleus와 inferior colliculus에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이명을 억제한다고 하며, cochleo-vestibular compression syndrome에서 효과가 있다고 한다.22) Westerberg 등23)은 이명에 대한 baclofen의 효과에 대한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연구에서 위약 그룹에서는 32명 중 1명(3.4%), baclofen 그룹에서는 31명 중 3명(9.7%)이 이명 호전을 보였다고 하였으나 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부작용으로는 혼란, 졸음, 어지러움증, 위장관계 부작용이 있었다.

Antiglutamatergic agents
Spasmolytics로 quinoloxaline 유도체이며 glutamate receptor에 agonist effect를 갖는다. 진경작용이 있는 caroverine은 와우내의 glutamate 수용체에 효용제로서 작용하여 와우의 glutamate-mediated neurotoxicity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하며, glutamate와 glutamate 수용체의 기능부전은 노인성 난청, 소음성 난청, 메니에르병, 돌발성 난청을 비롯한 내의 질환의 다양한 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1997년 Denk 등24)은 이명에 대한 효과를 보기 위한 맹검 연구에서 caroverine 일회의 정맥주사로 63.3%에서 효과가 있었다고 하였고, Choung 등25)은 2회의 정맥 주사로 31%에서 주관적인 이명이 감소하였다고 하였다. 따라서, 와우 기원의 이명에 caroverine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부작용으로는 갈증, 피부 발적, 저혈압, 간손상, 신장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 고실내 주사요법
고실내 스테로이드는 고실신경총의 흥분을 안정시키고, 내이의 이상흥분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여 이명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26) Cesarani 등27)은 subjective idiopathic tinnitus를 대상으로 dexamethasone을 하루 3회 수개월간 주사하여 50명의 환자 중 34%에서 증상 완전호전, 40%에서 부분호전, 26%에서 변화없음을 보고하였다. She 등28)은 경구 carbamazepine과 비교하여 고실내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의 효과에 대해 carbamazepine과 유사한 효과를 보았음을 보고하였다.


혈관확장제(Vasodilator)
이명이 와우와 뇌의 혈류장애로 온다는 이론하에 사용하였다. Shaia와 Sheehy29)는 돌발성 난청 환자의 47%에서 혈관확장제의 사용으로 호전을 보았고, Rubin30)은 내이의 혈액순환장애의 치료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주로 쓰이는 혈관 확장제로는 Nicotinic acid, Papaverine Hydrochloride, Dipyridamole, Nylidrin hydrochloride 등이 알려져 있다.
Nicotinic acid(Niacin)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고기, 우유, 계란 등에서 발견된다. 이명조절시 사용하는 근거는 미로에 원활한 혈류의 흐름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는데, 50 mg씩 하루 3회 복용하며 하루 최대 300 mg까지 복용할 수 있고, 공복에 복용해야 효과가 좋다. 부작용은 안면 및 피부발적, 소화기 장애, 위궤양, 저혈압, 두통, 당내성저하, 과요산혈증, 간기능장애 등이 있다. Atkinson 등은 이 약물로 이명 환자의 50%에 증상호전을 보고하였으나 Hulshof와 Vermeij31)은 효과가 없었다고 보고하기도 하였다.
메니에르병에 효과가 있는 betahistine hydrochloride (Serc)는 histamine analog and H1 receptor agonist 종류의 혈관확장제로 뇌혈류를 개선하며 내이혈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부 환자에서 현훈의 정도와 빈도를 감소시키는 데는 효과를 보이나 이명에 대한 효과는 확실치 않다.7)

항히스타민(Antihistamine)
이명 조절에서 항히스타민제의 약리 효과는 진정작용, 알레르기, 혈관확장, 항콜린 작용을 한다. 이명에 특효약은 아니지만 이명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지속적인 물리적 압력이 난원창과 정원창을 통해 와우에 전달되면 유모세포와 연관된 개막에 전위를 초래하여 이명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항히스타민제의 건조효과는 이관의 기능을 호전시켜 중이강의 통기를 증가시킴으로서 이러한 기전을 막는 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한 항콜린 효과는 내림프 수종 때 사용되기도 하며, 와우의 모세혈관이나 세정맥에 이완기능을 할 수 있다.3) Terfenadine, Chlorpheniramine, Meclizine 등이 이에 속하며 알레르기가 동반된 이명 환자에서 효과가 있으며 알레르기가 없는 환자에서는 효과가 없다고 한다. 주된 부작용으로 중추신경계의 자극 혹은 억제, 불안, 졸림, 진정작용 등이 있다. 

Calcium channel blockers
신경 생리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소리 전달을 위해서는 세포 내외의 calcium 농도가 매우 중요하다. 이명의 발생에 있어서 와우의 세포 내외의 calcium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근거하에 Ca channel blocker를 사용한다. 약물 유발성 이명이 calcium이 포함된 물질 투여에 의해 약해질 수 있으며, Chen과 Jastreboff32)는 L-type calcium channel blockers가 약물 유발성 이명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를 하였다. 이명에 사용되는 calcium channel blocker로는 Nimodipine, Nifedipine 등이 있다. Theopold33)에 의하면 Nimodipine을 하루에 90 mg씩 3주 동안 사용하여 30명 중 20명에서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Davies 등34)은 nimodipine(Nimotop, 30 mg tablets)를 이명 환자에 투여하여 31명 중 5명이 큰 효과를 보였고 2명은 악화됨을 보고하였다. 효과를 보인 환자 중 4명에 대해서는 4주간 약제를 더 투여하고, 최소 차폐 강도 측정으로 이명의 감소를 증명하였다. 부작용으로는 저혈압, 부종, 두통, 빈맥, 피부 발적, 정맥염, 간기능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Ginkgo biloba extract
은행나무에서 추출한 것으로 biofavonoid glycosid라는 활성물질이 혈액 점도를 감소시키고 혈소판 활동인자의 작용을 억제하며 혈관확장을 시켜 혈류를 개선하는 역할을 하여 만성적인 뇌혈류 장애나 말초 혈관 질환, 망막 질환, 현훈증상에 효과가 있고 특히 중추성 이명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 뇌기능을 보조함으로써 정신향상(mental acuity)에 기여한다고 하며 혈액순환, 대사, 혈액점도, 노화에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호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모세혈관의 투과성 및 정맥계의 혈압을 증가시키며, 대사적으로 손상받은 뇌대사영역에서 ATP와 당 수치를 증가시킨다. 또한 신경세포수준에서 전달되는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런 정신 기능의 향상과 더불어 근육재활, 노화방지, 황반변성방지, 감각신경성난청 예방, 부종 등에 효과가 있으며 청각과민(hyperacusis)과 이명의 치료에도 성공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투여량은 하루 100 mg/kg씩 3주 정도 사용한다. 부작용으로는 소화기장애, 두통, 피부발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Meyer35)에 의하면 35.5%에서 이명이 완전히 소실되었음을 보고하였으며 독일의 보고에서도 높은 효과를 제시하였으나 Vernon은 이중맹검법에서 위약과 비교하여 효과가 없다는 보고도 하였다.5)

Melatonin

Melatonin은 자연적으로 생성되며 신체의 주기적인 리듬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불면증이 이명 환자의 주요 증상이고, 또한 유발요인이 되므로 여러 연구에서 melatonin이 이명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Rosenberg 등36)은 melatonin 3.0 mg을 총 30일간 30명의 환자에게 취침전 투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개 THI score가 개선되었고 환자군의 46.7%에서 이명의 호전을 보고하였다.

Zvinc
아연은 수많은 생물학적 신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성장과 발달, 면역반응, 신경학적 기능, 그리고 생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와우와 전정부위의 연부조직에 아연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이명의 치료에 추천되고 있다. 또한 칼슘통로에 길항작용을 하므로 이독성을 예방하고, 감각신경성 난청과 이명 환자에서 혈청 및 조직 내 황산 아연치가 증가되므로 난청과 이명이 호전된다. Ochi 등37)은 대조군과 이명 환자군 사이의 혈청 아연 수치를 측정한 결과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아연수치의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고, 이명환자군에게 아연을 34
~68 mg을 2주간 매일 복용시킨 결과 이명이 감소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아연이 부족한 이명 환자에서 아연 투여 후 이명이 호전되었으나 정상 수치를 가진 환자에서는 이명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는 보고가 있다.4)

Trimetazidine
세포막의 pump function과 energy function의 회복을 유도하는 약제로 허혈세포에 직접작용하여 세포의 에너지원인 ATP 생성을 촉진하여 이온 펌프 기능을 정상화하고, 세포에 유독한 유리기(free radical)의 생성을 억제하여 세포내 산성화를 막으며, 혈관수축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3) 협심증 치료에 사용하는데, 이비인후과적으로는 혈관성 어지럼증과 이명에 적용될 수 있다. 부작용으로 구역, 위 불쾌감, 식욕부진 등의 소화기장애 및 두통, 권태감, 가려움, 발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Pentoxifylline
Xanthine 유도체로서 적혈구의 변형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며, 혈액 점도를 낮추고 혈액 유동성을 개선해 미세 순환을 개선한다. 하루 400 mg을 3회 투여하지만 8주 이내만 사용해야 한다. Hartmann과 Tsuda38)에 의하면 의미 있게 뇌혈류가 증가하였으며 이명에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부작용으로 위장장애, 오심, 소화불량, 불안, 어지럼증, 두통, 시야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Flunalizine Hcl
혈관수축과 경련을 억제하고, 혈액 점도를 낮추어 뇌순환을 개선한다.

Prostaglandin E1(Misoprostol)
Cyclooxygenase를 억제하는 aspirin, NSAID 등이 PG level을 낮출 수 있고 이로써 이명과 일시적인 난청이 생길 수 있다는 가설하에 사용하였다.35)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고 혈관을 확장시켜 내이 순환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여 이명의 호전을 보인다고 보고가 있다. Misoprostol
®, Misodol®은 synthetic PG E1으로 비교적 부작용이 적다. House Ear Clinic에서 이명 환자를 대상으로 Misoprostol을 200 mg/day 투여하고 5일마다 증량하여 한달간 투약한 결과 환자의 33%에서 이명의 호전을 보고하였다.39)

Vitamins(A, B1, B6, B12)
돌발성 난청과 이명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신경염, 말초신경마비에 대하여 신경재생 작용과 지각, 운동기능 회복작용을 일으킨다. 

Adenosine triphosphate(ATP)
체내에서 가수분해시에 고에너지를 방출하여 체내 각 부분의 대사에 관계하며, 뇌혈관 저항을 감소시켜 뇌혈류량을 증가시키고, 말초신경 증상을 개선시켜 이명 완화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3)

Furosemide
Furosemide는 Na-K-2Cl cotransporter를 억제하는 loop inhibiting diuretics로 endolymphatic potential을 억제하여 와우 기원성의 이명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4)

Diet
이명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추천되는 식이요법은 저염식을 권장하며, 커피(카페인), 초콜릿, 고지방음식, 흡연, allergy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은 금지하며, 당뇨 환자는 cholesterol과 지방이 낮은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고 salicylate가 함유된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그리고 모든 이명 환자에서 스트레스, 피로, 소음 등의 상황 및 부작용으로 이명을 가져올 수 있는 약제는 피해야 한다.

결     론

결론적으로 이명을 치료할 수 있는 약제로 공인되어 있는 약물은 아직 없으나 이명을 약화시켜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어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제를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Table 1).


REFERENCES

  1. Jastreboff PJ, Gray WC, Gold SL. Neurophysiological approach to tinnitus patients. Am J Otol 1996;17:236-40. 

  2. Lockwood AH, Salvi RJ, Coad ML, Towsley ML, Wack DS, Murphy BW.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tinnitus: evidence for limbic system links and neural plasticity. Neurology 1998;50:114-20. 

  3. Yeo SG. Recent pharmacologic treatment for tinnitus. Kyung Hee tinnitus seminar;2010. p.50-63.

  4. Langguth B, Salvi R, Elgoyhen AB. Emerging pharmacotherapy of tinnitus. Expert Opin Emerg Drugs 2009;14:687-702.

  5. Kirkwood DH. Tinnitus. SHHH Journal 1996 January/February:20, 22.

  6. Vernon JA, Meikle MB. Masking devices and alprazolam treatment for tinnitus. Otolaryngol Clin North Am 2003;36:307-20, vii.

  7. Lee HK, Choi HS. Current Treatment Modalities for Tinnitus. J Clinical Otolaryngol 2003;14;175-80. 

  8. Podoshin L, Fradis M, David YB. Treatment of tinnitus by intratympanic instillation of lignocaine (lidocaine) 2 per cent through ventilation tubes. J Laryngol Otol 1992;106:603-6. 

  9. Emmett JR, Shea JJ. Treatment of tinnitus with tocainide hydrochloride.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0;88:442-6.

  10. Sieghart W. Pharmacology of benzodiazepine receptors: an update. J Psychiatry Neurosci 1994;19:24-9.

  11. Johnson RM, Brummett R, Schleuning A. Use of alprazolam for relief of tinnitus. A double-blind stud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3;119:842-5. 

  12. Bahmad FM Jr, Venosa AR, Oliveira CA. Benzodiazepines and GABAergics in treating severe disabling tinnitus of predominantly cochlear origin. Int Tinnitus J 2006;12:140-4.

  13. Seidman MD, Babu S. Alternative medications and other treatments for tinnitus: facts from fiction. Otolaryngol Clin North Am 2003;36: 359-81.

  14. Ganança MM, Caovilla HH, Ganança FF, Gananca CF, Munhoz MS, da Silva ML, et al. Clonazepam in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vertigo and tinnitus. Int Tinnitus J 2002;8:50-3.

  15. Murai K, Tyler RS, Harker LA, Stouffer JL. Review of pharma-cologic treatment of tinnitus. Am J Otol 1992;13:454-64. 

  16. Dobie RA, Sakai CS, Sullivan MD, Katon WJ, Russo J. Antidepressant treatment of tinnitus patients: report of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nd clinical prediction of benefit. Am J Otol 1993;14:18-23. 

  17. Melding PS, Goodey RJ. The treatment of tinnitus with oral anticonvulsant. J Laryngol Otol 1979;93:111-22.

  18. Willow M, Gonoi T, Catterall WA. Voltage clamp analysis of the inhibitory actions of diphenylhydantoin and carbamazepine on voltage-sensitive sodium channels in neuroblastoma cells. Mol Pharmacol 1985;27:549-58.

  19. Cardenas CA, Cardenas CG, de Armendi AJ, Scroggs RS. Carbamazepine interacts with a slow inactivation state of NaV1.8-like sodium channels. Neurosci Lett 2006;408:129-34.

  20. Sanchez TG, Balbani AP, Bittar RS, Bento RF, Camara J. Lidocaine test in patients with tinnitus: rationale of accomplishment and relation to the treatment with carbamazepine. Auris Nasus Larynx 1999; 26:411-7 .

  21. Szczepaniak WS, Møller AR. Effects of L-baclofen and D-baclofen on the auditory system: a study of click-evoked potentials from the inferior colliculus in the rat. Ann Otol Rhinol Laryngol 1995;104: 399-404.

  22. Caspary DM, Rybak LP, Faingold CL. Baclofen reduces tone-evoked activity of cochlear nucleus neurons. Hear Res 1984;13:113-22.

  23. Westerberg BD, Roberson JB Jr, Stach BA.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baclofen in the treatment of tinnitus. Am J Otol 1996;17:896-903.

  24. Denk DM, Heinzl H, Franz P, Ehrenberger K. Caroverine in tinnitus treatment. A placebo-controlled blind study. Acta Otolaryngol 1997; 117:825-30. 

  25. Choung YH, Park HJ, Song JW, Ryu SJ, Moon SK, Park K. Treatment effects of glutamate antagonist for tinnitu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3;46:935-9.

  26. Haynes DS, O'Malley M, Cohen S, Watford K, Labadie RF. Intratympanic dexamethasone for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after failure of systemic therapy. Laryngoscope 2007;117:3-15.

  27. Cesarani A, Capobianco S, Soi D, Giuliano DA, Alpini D. Intratympanic dexamethasone treatment for control of subjective idiopathic tinnitus: our clinical experience. Int Tinnitus J 2002;8:111-4.

  28. She W, Dai Y, Du X, Chen F, Ding X, Cui X. Treatment of subjective tinnitus: a comparative clinical study of intratympanic steroid injection vs. oral carbamazepine. Med Sci Monit 2009;15:PI35-9.

  29. Shaia FT, Sheehy JL.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impairment: a report of 1,220 cases. Laryngoscope 1976;86:389-98.

  30. Rubin W. Nutrition, biochemistry, and tinnitus. Int Tinnitus J 1999;5: 144-5.

  31. Hulshof JH, Vermeij P. The effect of nicotinamide on tinnitus: a double-blind controlled study. Clin Otolaryngol Allied Sci 1987;12:211-4.

  32. Chen GD, Jastreboff PJ. Salicylate-induced abnormal activity in the inferior colliculus of rats. Hear Res 1995;82:158-78.

  33. Theopold HM. [Nimodipine (Bay e 9736) a new therapy concept in diseases of the inner ear.] Laryngol Rhinol Otol (Stuttg) 1985;64: 609-13.

  34. Davies E, Knox E, Donaldson I. The usefulness of nimodipine, an L-calcium channel antagonist, in the treatment of tinnitus. Br J Audiol 1994;28:125-9.

  35. Meyer B.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drug vs. placebo study of the treatment of tinnitus with Ginkgo biloba extract.] Presse Med 1986;15:1562-4. 

  36. Rosenberg SI, Silverstein H, Rowan PT, Olds MJ. Effect of melatonin on tinnitus. Laryngoscope 1998;108:305-10.

  37. Ochi K, Ohashi T, Kinoshita H, Akagi M, Kikuchi H, Mitsui M, et al. [The serum zinc level in patients with tinnitus and the effect of zinc treatment.] Nippon Jibiinkoka Gakkai Kaiho 1997;100:915-9.

  38. Hartmann A, Tsuda Y. A controlled study on the effect of pentoxifylline and an ergot alkaloid derivative o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patients with chronic cerebrovascular disease. Angiology 1988; 39:449-57. 

  39. Yilmaz I, Akkuzu B, Cakmak O, Ozlüoglu LN. Misoprostol in the treatment of tinnitus: a double-blind study.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4;130:604-10.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