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Noise Level of Drilling Machine During Mastoidectomy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Noise and Hearing Conservation
Korean Journal of Audiology 1997;1(1):87-90.
Noise Level of Drilling Machine During Mastoidectomy
Ho-Ki Lee, Jae-Young Choi, Sang-Woo Moon, Hong-Shik Choi, Hee-Nam Kim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유양동삭개술시 발생하는 소음의 측정
이호기, 최재영, 문상우, 최홍식, 김희남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Exposure to intense noise has been identified as a potential risk for the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ment. The social concern about the noise is increasing and it is extended to the operating room. A noise level survey ws performed in the operating room during the mastoidectomy with sound level meter (Quest 2700) and it was analyzed with sound analyzing program (Dr. science 3.0). Drilling machines which we used were Stryker, Midas, M.P.S. and Med-Next. The operator was exposed to 69 dB-83 dB sound level noise. The loudest drilling machine was Midas and it prouced 84 dB sound level noise to the operator. The mean exposure time was 41 minutes during the mastoidectomy. Ear protection is recommended for operator and operating personnels because most drilling machines produced noise over 75 dB, the exposure time was relatively long compared with other procedure and the personal susceptibility to noise was different. 

Keywords: Noise;Noise induced hearing loss;Mastoidectomy;Drilling machine.
서론 지속적인 소음에 대한 노출은 난청을 비롯한 여러가지 부작용을 가져온다. 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소음에 대한 다양한 수상한계(damage risk criteria)와 예방대책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소음에 대한 노출은 병원 내에서도 빈번히 발생하며, 최근 수술실이나 중환자실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도 유양동삭개술시 절삭기계(drilling machine)에 의해 비교적 큰 소음이 발생하는데, 그간 이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유양동삭개술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이 소음이 수술자를 비롯한 의료진들의 청력에 끼칠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최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세브란스병원에서 시행된 유양동삭개술 중 10예를 대상으로 Quest 2700 sound level meter(Fig. 1)를 이용하여 수술자, 조수, 간호사, 마취의사의 위치(Fig. 2)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의 소음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각 예에서 cutting burr와 diamond burr를 구별하여 3회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또한 분당 90 dB 이상의 소음의 발생한 횟수를 기록하였다. 발생한 소음을 녹음한 후 이를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Doctor science(version 3.0)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별 에너지의 분포를 분석하였다(Fig. 3). 10예에서 사용한 절삭기계의 종류는 Stryker 5예, Midas 2예, M.P.S. 2예, Med-Next 1예 이었다. 결과 절삭기계의 드릴로부터 수술진들의 귀까지의 거리는 수술자의 경우 68 cm, 조수는 78 cm, 간호사는 102 cm, 마취과 의사는 192 cm이었으며, 각 수술진에게서 측정된 소음의 크기는 절삭기계의 종류에 따라 수술자의 경우 69∼83 dB, 조수 68∼80 dB, 간호사 68∼78 dB, 마취과 의사 66∼75 dB로서 수술자가 가장 큰 소음에 노출됨을 알 수 있었다(Table 1). 수술자의 경우 사용한 기계의 종류에 따른 소음의 평균치는 cutting burr를 이용한 경우 M.P.S. 73 dB, Stryker 77 dB, Med-Next 78 dB, Midas 83 dB로서 Midas가 가장 큰 소음을 내었다. 각 드릴의 분당 회전수가 많을수록 발생한 소음의 크기가 크게 나타났다(상관계수 0.928). Cutting burr가 diamond burr보다 큰 소음을 나타내는 경향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분당 90 dB 이상의 기계의 종류에 따라 수술자의 경우 4∼8회, 조수는 0∼4회, 간호사는 0∼2회 측정되었고, 마취과 의사의 경우 90 dB 이상의 소음은 관찰되지 않았다(Table 2). 유양동삭개술시 드릴 사용시간은 평균 41분이었다. 측정된 소음을 Doctor science ver 3.0을 이용하여 각 주파수별 에너지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전 주파수에 걸쳐 에너지가 골고루 분포하는 전형적인 백색소음(white noise)의 양상을 보였다(Fig. 4). 고찰 과도한 소음은 Corti 기관의 유모세포를 파괴시켜, 청력소실을 가져올 뿐 아니라1)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2) 혈청 코티졸(cortisol)과 콜레스테롤을 상승시키며 수면형태의 변화를 가지고 오는 등3) 여러가지 정신적, 심혈관계, 호흡기계의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환경과 공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작업장이나 생활환경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소음성 난청은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데, 현재까지 소음성 난청은 광부, 항공기 관련업무 종사자 등에게서 주로 연구 되었으며,4)5) 그 결과 소음에 대한 수상한계(damage criteria)가 제시되고 있다. 소음성 난청을 일으키는 수상한계(damage criteria)는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는 75 dB이상 일일 8시간,6) OSHA(Occupational Safty and Health Act)7)와 우리나라의 환경법상에는 90 dB이상 일일 8시간으로 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병원 내, 특히 수술실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뇨기과 영역에서 사용하는 쇄석기(ESWL-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의 경우 기계의 종류에 따라 77 dB 정도의 소음이 발생하여 잠재적인 위험요소가 된다는 보고8)와 110 dB 정도의 소음이 발생하여 보호대책이 필수적이라는 보고9)가 있다. 정형외과 영역에서도 수술실 내에서 각종 소음이 발생하는데, Plaster saw의 경우 100 dB 이상의 소음의 발생하며10)11) 정형외과 의료진의 50%에서 소음성난청이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12)13) 치과 영역에서는 Hand-piece에서 80∼90 dB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이비인후과 영역의 측두골 수술 중 유양동삭개술의 경우 절삭기계의 의해 수술진은 수술도중 상당시간 소음에 노출되는데, 저자들의 측정 결과 수술자는 cutting burr를 사용한 경우 M.P.S.를 제외하고는 모두 75 dB 이상의 소음에 노출되었으며, 소음의 특성도 여러 소음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마찬가지로 전형적인 백색소음의 양상을 보여 유양동삭개술시 발생하는 소음이 소음성 난청을 일으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측정에서 90 dB이상의 소음이 수술자의 경우 모든 기계에서 4회 이상 관찰되었는데, 지속적인 소음보다 간헐적 강대소음이 등골반사 등 귀 보호기능이 작용할 수 없으므로 청력에 더욱 큰 손상을 준다는 점9)을 고려하면 소음성난청의 가능성은 더욱 크다고 하겠다. 한편 cutting burr와 diamond burr 사용할 때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burr의 크기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다만 절삭기계의 종류에 따라 소음의 크기에 차이를 보였는데 현재 Midas등 분당 회전수(R.P.M.)가 많은 기기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할 때 절삭기계의 선택할 때 좀 더 신중해야 하겠다. 이와 더불어 개인간의 소음에 감수성이 다르고, 이과수술의 경우 반복적으로 소음에 노출되며, 일일 노출시간도 다른 영역의 수술의 노출시간에 비해 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장기간 절삭기계를 사용하는 경우 소음성 난청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예방법으로는 개인의 소음에 대한 감수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강대소음부과 후 일시적인 역치상승(noise induced temporary threshold shift, TTS)의 측정이 유효하며,15) 소음에 대한 귀 보호기(protector)의 사용이 권장된다. 앞으로 수술진들의 청력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소음성 난청의 유병률을 측정하는 등 전향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요약 저자들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에서 사용하는 절삭기계를 이용한 유양동삭개술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실 내의 의료진 중 수술자, 조수, 간호사, 마취사 의사의 순으로 소음의 노출이 심하였다. 2) 절삭기계의 종류에 따라 수술자에게 전달되는 소음을 측정한 결과 cutting burr를 사용한 경우 Midas(83 dB), Med-Next(78 dB), Stryker(77 dB), M.P.S(73 dB)의 소음강도를 나타내어, 절삭기계의 분당 회전수(R.P.M.)가 클수록 소음의 강도가 높았다. 3) 모든 절삭기계에서 소음 중 90 dB 이상의 소음이 수술자의 경우 분당 4회 이상 측정되었다. 4) 유양동삭개술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와 수술시간 등을 고려할 때 수술진 특히 수술자의 소음에 대한 귀보호 및 정기적인 청각검사를 포함흔 적극적인 청력보호 대책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REFERENCES
1) Kim HN, Jung MH, Moon TY, Sim YJ, Kim YM. Morph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of the organ of Corti following various noise exposure. Korean J Otolaryngol 1991;34(6):1120-31. 2) Estela KB, Samuel M, Gil H, Manfred SG. Acute and chronic effect of noise exposure 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mong inducstrial employees. The cordis study. Arch Envir Health 1995;50:298-304. 3) Contrell RW. Prolonged exposure to intermittent noise. Laryngoscope 1974;84(Suppl 1):1-55. 4) Jung DH, Yoon BM, Bong JP, Hong JC, Lee UU, Lee WY. An analysis of audiologic test in coal miners with noise induced hearing loss. Korean J Otolaryngol 1994;37(6):1148-54. 5) Park KH, Yoon SW, Uh HY, Nah SH, Ban YD, Yung JS. Clinico-audiological evaluation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in army pilot. Korean J Otolarngol 1984;27(1):20-7. 6) Office of Nosie Abatement and Control,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formation of levels of environmental nosie requestite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welfare with an adequate margin of safty. Washinton DC 1974. 7) Occupational Safty and health Act. Occupational noise exposure regul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Occupational Safty and Health Act. Federal Register 1974;39:244. 8) Dawson C, Chilcott-Jones A, Corry DA, Choen NP, Williams HOL, Nockler IB, et al. Dose lithotripsy cause hearing loss?. Br J Urol 1994;73:129-35. 9) Rodney PL, Richard ST. Hazardous sound levels produced by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J Urol 1987;137:1113-14. 10) Gorge BH, Godman KL, David WH, McCorvey VM. Noise level of orthopedic instruments and their potential healths risk. Othopedics 1996;19:35-7. 11) Dodenhoff RM. Noise in the othopaedic operating theatre. Ann R Coll Surg Eng (Suppl) 1995; 77:8-9. 12) Kamal SA. Orthopedic theatres: A possible noise hazard?. J Laryngol Oncol 1982;96:985-90. 13) Willett KM. Noise induced hearing loss in orthopedic staff. J Bone Joint Surg 1991;73B:113-5. 14) Salma B, Ahmed AE, Ahmed B. Noise level of dental handpieces and laboratory engines. J Pros Dent 1993;70:356-60. 15) Park HS, Choi HS, Koh EK, Wang SK, Jung KM, Lee JD. Noise induced temporal thershold shift in noise induced hearing loss. Korean J Otolaryngol 1986;34(6):448-58.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METRICS Graph View
  • 1,431 View
  • 2 Download

A Case of Intracranial Abscess after Mastoidectomy2009 ;13(3)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