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A Study for the Features of Masked Pure Tone Threshold Using TEN(Threshold Equalizing Noise)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Hearing science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4;8(2):125-132.
A Study for the Features of Masked Pure Tone Threshold Using TEN(Threshold Equalizing Noise)
Kyung Su Lim1, Jung Hak Lee2, Ho Lim Ku3
1Department of Rehabilitatio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Hallym University, Chunchoen
2Department of Otolaryng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unchoen
3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Graduate School , Hallym Univers
정상성인에서 등가소음을 이용한 차폐 순음청력역치의 특성에 관한 연구
임경수1, 이정학2, 구호림3
1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재활학과 청각학전공
2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3한림대학교 언어청각협동과정, 청각학전공 박사과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eatures of masked pure tone thresholds using threshold equalizing noise (TEN). We obtained the data from 24 ears of 12 adults (8 males and 4 females) with normal hearing. The average hearing thresholds of subjects were below 5 dB HL. The new version of TEN HL Test was conducted at the levels of 40 dB/ERBN, 60 dB/ERBN and 80 dB/ERBN. The new version of TEN HL TEST has several advantages. First, we use dB HL for all levels so absolute thresholds can be measured at once. Second, the Noise level/ERB and the level of sound for test have the same value at audiometer as the calibration has been done perfectly. This helps to use the TEN HL Test easily and the possibility of occurring error is reduced. Third, the bandwidth of noise has been reduced from 250-10,000 Hz (11 frequency region) to 500-4,000 Hz (7 frequency region) and the noise crest factor has become very low. Consequently, we can avoid excess sound distortion as the noise level/ERB and the possibility of defection of hearing are increased. Masked pure tone thresholds increased as TEN levels went up. The masked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TEN levels, however, fo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w version of TEN HL test be reliable. Thus, the TEN test may be applied for evaluating the damaged region of cochlea and also for prescribing and fitting hearing aids with further study. More data for hearing-impaired people should be obtained before clinical use.

Keywords: Dead region;Cochlear hearing loss;Threshold equalizing noise.

교신저자:이정학, 431-070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896번지
교신저자:전화) (031) 380-3792, 전송) (031) 380-3794, E-mail:leejh@hallym.ac.kr

서     론


  
와우 청력 손실(cochlear hearing loss)은 와우 내의 유모세포에 손상과 관련 있다. 이러한 손상은 주요한 두 가지 방식으로 청력 손실을 일으킨다. 첫째로 외유모세포(outer hair cell;OHC)가 손상이 되면 와우의 능동적인 메카니즘이 손상되고 이로 인하여 낮은 수준의 소리에 대한 기저막의 움직임이 정상보다 작아지는 결과를 수반 한다.1)2)3) 그러므로, 기저막에서 진동을 최소한 탐지하기 위해 입력음을 증가해야만 한다. 둘째로 내유모세포(inner hair cell;IHC) 손상은 전달의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절대 역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기저막 진동은 정상보다 많아진다.4)
HLohc+HLihc=HLtotal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에서 난청이 60 dB로 40 dB는 외유모세포의 손상 때문에 온 것이고, 20 dB는 내유모세포의 손상 때문에 온 것으로 가정해 볼 때 청력 역치 측정만으로는 두 기관(내유모세포와 외유모세포)이 난청의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1997년 Moore와 Glasberg5)는 그 기여정도를 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 하였다.
감각성(미로성) 난청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주로 와우 내에 있는 유모 세포들의 손상과 관련이 매우 깊다.6)7) 때때로, 기저막 중심에 위치한 내유모세포는 기능을 완전히 상실했거나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것은 그 위치에 해당하는 기저막의 진동을 전달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특정 지역과 관련된 청신경들이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퇴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것은 그 위치에 해당하는 기저 막 진동에 대한 정보가 뇌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능을 하지 못하는 내 유모 세포나 신경들이 있는 위치를 일컬어 소실영역(dead region)이라고 명명하였다.8)9)
소실영역은 이와 관련된 내유모세포와 신경들의 주파수 특성(characteristic frequencies;CFs)의 범위로 설명되어질 수 있다. 소실영역에서 기저막의 진동은 신경 활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하지만, 소실영역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 음은 와우의 인접한 지역에 내유모세포/신경세포(neuron)의 자극을 통해 탐지될 수 있다.
와우 소실영역의 유무를 탐지하는 유용한 방법으로써 차폐(masking)를 사용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심리음향학적동조곡선(psychophysical tuning curves;PTCs)과 등가소음(threshold-equalizing noise, TEN)이 있다.
비교적 빠르고 간편한 방법으로 와우의 소실영역을 확인하는 방법은 TEN 이라고 하는 차폐소음을 이용하는 방식이다.10) 이 소음은 스펙트럼 형태를 하고 있어서 정상인의 경우 순음의 차폐 역치는 250
~10,000 Hz의 모든 주파수에서 동일하다. 이와 비슷한 소음은 이전에도 Langenbeck(1965)11)에 의해 사용되어졌으며, 소음 레벨을 청각필터(auditory filter)의 ERB(equivalent rectangular bandwidth)로 표시를 하였는데 이것은 중간 정도의 레벨에서 정상 청력을 가진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구한 것이다(ERBN이라고 명명). 좀더 자세히 말하면, 등가소음레벨은 1000 Hz가 중심 주파수, 대역폭은 ERBN인 132 Hz에서의 레벨로 표시를 하였다. 정상인의 경우, 차폐 역치에서의 자극 레벨은 대략 소음레벨/ERBN과 동일하다.
와우의 소실영역이 존재할 때, 그 지역에 속하는 자극은 자극주파수와 다른 특정주파수를 가진 내유모세포/신경세포를 통해 탐지될 수 있다. 다른 말로 말하면, 듣는 기능이 소실된 영역 이라고 한다. 이러한 경우에 차폐순음청력역치가 정상보다 훨씬 더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종전의 TEN SPL 검사는 일반적으로 TEN Compact Disk(CD)에 저장되어있는 검사음을 사용하였으며, 사용하는 음들의 단위는 dB SPL로 정의되었다. TEN 검사에서 청각사들은 CD에 있는 검사음을 사용하여 절대역치와 차폐역치를 측정해야 함으로 dB SPL에서 보정(calibration)하기가 불편했다. 즉 절대역치를 처음에는 dB HL로 측정하고 그 후에는 dB SPL로 총 두 번을 측정해야 했다.
2004년 Moore 등12)에 의해 발표된 와우의 기능을 평가하기위한 새로운 TEN HL 검사에서는 특정한 주파수범위안에서 일정한 차폐역치를 얻기 위하여 소음을 dB HL로 발생하도록 디자인 되었다.
   Fig. 1에서는 새로운 버전의 TEN HL 검사에서 사용한 소음의 스펙트럼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상단 그림의 점선은 TEN HL 소음의 주 통과대역(passband)에서 구한 스펙트럼 형태의 "Target"을 나타낸 것이다. 스펙트럼의 레벨은 1 kHz의 레벨과 비교하여 dB로 표시하였다. 실선은 TEN HL에서 얻어진 스펙트럼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하단의 그림은 소음을 단기적으로 분석한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모든 주파수에서 동일한 차폐 역치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소음의 스펙트럼 모양을 dB HL로 표시 하였으며 소음의 크기를 낮추고 검사기와 헤드폰에서 발생하는 왜곡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음의 밴드를 354
~6500 Hz로 제한하였다. 또한 Peak와 RMS 값과의 비율인 파고율(crest factor)를 낮게 만드는 방법으로 소음을 합성하였다. 이로 인하여 청력 검사기/헤드폰의 왜곡을 더 줄일 수 있었고, ERB 당 더 높은 레벨을 얻을 수 있었다. 검사 주파수는 500~4000 Hz까지 제한하였다. 정상 청력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60 dB/ERBN의 소음을 사용해서 검사를 하였는데 그 이유는 500~4000 Hz의 모든 주파수에서 그 소음으로 동일한 차폐 역치(dB HL)을 구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평가하기 위해서였다. 정상성인 또는 와우에 소실영역이 없는 난청자의 경우, 이 방법을 사용하면 절대역치를 두 번씩 측정할 필요가 없으며 해석 또한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EN HL CD 검사도구의 사용을 위한 국내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정상성인에서 등가소음(TEN)을 이용하여 차폐 순음청력역치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등가소음수준에 대한 좌우 차폐 순음청력역치 와 등가소음수준에 대한 성별 차폐 순음청력역치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스타키 청각 연구센터에서 정상청력을 가진 12명(24귀)을 대상으로 하였다.남녀 성별은 남자 8명(16귀), 여자 4명(8귀) 이었으며, 남자의 평균연령은 34세(연령범위:29
~46세), 여자의 평균연령은 25.3세(연령범위:24~28세)였다.
좌우측에 순음청력역치 결과는 우측 귀의 전체 평균은 5.1 dB HL과 좌측 귀의 전체 평균은 4.3 dB HL 그리고 양쪽 귀의 전체 평균은 4.7 dB HL로 나타났다. 주파수별 기도청력역치를 살펴보면 500 Hz에서 양측 귀의 평균 청력은 8.8 dB HL로 가장 높은 청력역치를 보였으며, 4000 Hz에서 평균 청력은 2.5 dB HL로 가장 낮은 청력을 보였으나 표준 편차는 6.91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전체 주파수에 대한 평균청력은 우측 귀가 좌측 귀보다 평균 0.8 dB HL 정도 높게 나타났다.
성별 순음청력역치의 결과를 살펴보면, 남자의 순음청력 평균역치는 5 dB HL(표준편차:4.10)이고 여자의 순음청력 평균역치는 4.2 dB HL(표준편차:4.37)로 남자의 평균 역치가 0.8 dB HL 더 높게 나타났다. 특별히 500 Hz에서 8.8 dB HL로 전체 평균 청력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체 순음청력 평균역치는 모두 정상 청력 군에 속하였다.

검사장비 및 실험도구

청력검사기는 MP3 Player(Memorex)가 내장된 AA50(Starkey) 검사기(TDH 39 헤드폰)를 사용하여 방음부스(Son tech-Made in Korea)에서 청력 검사 및 TEN HL 검사를 실시하였다. 2004년 캠브리지 대학의 Moor 등의 연구에서 만들어진 상용화된 검사도구로 개발된 TEN HL CD를 AA 50 검사기를 통하여 500, 750, 1000, 1500, 2000, 3000, 4000 Hz의 7개의 주파수에 대한 검사를 각각의 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는 TEN HL Test Worksheet에 기록 하였다.

실험절차

첫 번째로, 순음청력검사는 각각의 귀에 수정 상승 법에 의한 순음 청력검사를 이용하여 TEN HL 검사와 동일한 500, 750,1000, 1500, 2000, 3000, 4000 Hz의 7개의 주파수에 대한 순음 청력검사를 실시하였다.
두 번째로, TEN HL CD를 통한 아래에 단계별 TEN 검사 순서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전 환자에게는 동일한 귀에서 소음이 지속적으로 들리면서 주파수와 관련된 순음이 들릴 경우 반응을 하도록 지시하였다. 헤드폰을 통해 제시하는 등가소음 수준은 소음 수준에 따른 순음청력역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40 dB/ERBN, 60 dB/ERBN 그리고 80 dB/ERBN 세 개의 강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     과

등가소음 수준에 따른 좌 우 차폐 순음청력역치

동일한 귀에 등가 소음수준을 40 dB/ERBN, 60 dB/ERBN 그리고 80 dB/ERBN로 제시함에 따른 대상자 12명에 대한 좌측 귀(12귀)와 우측 귀(12귀)의 차폐 순음청력역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Table 1은 40 dB/ERBN 60 dB/ERBN, 80 dB/ERBN 등가 소음수준에서의 좌 우 차폐 순음청력역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40 dB/ERBN에서 우측 귀의 평균 역치는 39.67 dB HL 좌측 귀의 평균 역치는 39.62 dB HL 그리고 전체 평균역치는 39.64 dB HL로 나타났다. 60 dB/ERBN에서 우측 귀의 평균 역치는 60.19 dB HL, 좌측 귀의 평균 역치는 59.71 dB HL 그리고 전체 평균역치는 59.95 dB HL로 나타났다. 80 dB/ERBN에서 우측 귀의 평균 역치는 79.71 dB HL, 좌측 귀의 평균 역치는 79.67 dB HL 그리고 전체 평균역치는 76.69 dB HL로 나타났다.
   Table 2에서는 40 dB/ERBN, 60 dB/ERBN, 80 dB/ERBN 등가소음수준에서 좌 우 귀의 주파수별 단일 표본 t-Test 결과(유의확율)이다. 40 dB/ERBN의 등가소음수준 강도에서 검정한 결과 t 통계 값에서 우측 귀의 500 Hz에서 4000 Hz의 유의확률이 .166에서 .275 이고 좌측 귀의 500 Hz에서 4000 Hz의 유의확률이 .054에서 .275로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모든 주파수의 차폐 순음청력역치 검정 값인 40 dB HL 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60 dB/ERBN의 등가 소음수준 강도에서 검정한 결과 t 통계 값에서 우측 귀의 500 Hz에서 4000 Hz까지는 유의확률이 .054에서 1.000이고 좌측 귀의 500 Hz에서 4000 Hz까지는 유의확률이 .082에서 1.000으로 .05 수준에서 모든 주파수의 차폐 순음청력역치가 검정 값인 60 dB HL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80 dB/ERBN의 등가 소음수준 강도에서 검정한 결과 t 통계 값에서 우측 귀의 500 Hz에서 4000 Hz까지는 유의확률이 .082에서 .754이고 좌측 귀의 500 Hz에서 4000 Hz까지는 유의확률이 .054에서 .723으로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모든 주파수의 차폐 순음청력역치가 검정 값인 80 dB HL 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등가소음 수준에 따른 성 별 차폐 순음청력역치

동일한 귀에 등가 소음수준을 40 dB/ERBN, 60 dB/ERBN 그리고 80 dB/ERBN로 제시함에 따른 남자 8명(16귀)와 여자 4명(8귀)의 차폐 순음청력역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Table 3은 40 dB/ERBN, 60 dB/ERBN, 80 dB/ERBN 등가소음수준에서의 성별 차폐 순음청력역치 결과이다. 40 dB/ERBN의 등가 소음수준에 따른 성별 순음청력역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남자의 평균 역치는 39.54 dB HL, 여자의 평균 역치는 39.71 dB HL 그리고 전체 평균역치는 39.60 dB HL로 나타났다. 60 dB/ERBN에서 남자의 평균 역치는 59.82 dB HL, 여자의 평균 역치는 60.02 dB HL 그리고 전체 평균역치는 59.95 dB HL로 나타났다. 80 dB/ERBN에서 남자의 평균 역치는 79.80 dB HL, 여자의 평균 역치는 79.46 dB HL 그리고 전체 평균역치는 79.69 dB HL로 나타났다.
   Table 4에서는 40 dB/ERBN, 60 dB/ERBN, 80 dB/ERBN 등가소음수준에서 성별 주파수별 단일 표본 t-Test 결과(유의확율)이다. 40 dB/ERBN에서 등가소음수준 강도에서 검정한 결과 t 통계 값은 남자의 500 Hz에서 유의확률이 .048, 750 Hz에서 4000 Hz의 유의확률이 .055에서 .791이고 여자의 500 Hz에서 4000 Hz의 유의확률이 .104에서 1.000로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남자의 500 Hz를 제외한 모든 주파수의 차폐 순음청력역치 검정 값인 40 dB HL 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60 dB/ERBN에서 등가소음수준 강도에서 검정한 결과 t 통계 값은 남자의 500 Hz에서 유의확률이 .014, 750 Hz에서 4000 Hz의 유의확률이 .136에서 .751 이고 여자의 500 Hz에서 4000 Hz의 유의확률이 .080에서 1.000로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모든 주파수의 차폐 순음청력역치 검정 값인 60 dB HL 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80 dB/ERBN에서 등가소음수준 강도에서 검정한 결과 t 통계 값은 남자의 500 Hz에서 4000 Hz의 유의확률이 .096에서 1.000이고, 여자의 500 Hz의 유의확률은 .049 , 2000 Hz의 유의확률은 .033이고 나머지 주파수에서는 유의확률이 .275에서 .732로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모든 주파수의 차폐 순음청력역치 검정 값인 80 dB HL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Fig. 2는 40 dB/ERBN, 60 dB/ERBN 그리고 80 dB/ERBN에 대한 등가 소음수준의 강도 변화에 따른 절대 순음 청력역치와 차폐 순음 청력평균 역치를 그래프로 나타냈다. 상기의 등가소음 수준에 따른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파수별 40 dB/ERBN의 등가소음수준에서 차폐 순음 청력 평균 역치는 40 dB HL과 비슷한 39.64 dB HL로 평균 역치가 0.36 dB HL 낮은 그래프를 보이고 있으며, 주파수별 60 dB/ERBN의 등가소음수준에서 차폐 순음 청력 평균 역치는 60dB HL과 비슷한 59.95 dB HL로 평균 역치가 0.05 dB HL 낮은 그래프를 보이고 있다. 또한 80 dB/ERBN의 등가소음수준에서 차폐 순음 청력 평균 역치는 80 dB HL과 비슷한 79.69 dB HL로 평균 역치가 0.31 dB HL 낮은 그래프를 나타냈다. 전체 그래프를 통해 등가소음수준에 따른 차폐순음청력평균역치와 거의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고     찰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12명(남자 8명, 여자 4명)의 24귀에 대하여 순음 청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평균 청력이 4.7 dB HL로 정상 청력군에 속하였다. 특별히 500 Hz의 청력이 전체 평균 청력보다 4.1 dB HL 더 높은 8.8 dB HL로 나타났으나 대상자 모두 정상 청력군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등가 소음수준을 40 dB/ERBN, 60 dB/ERBN 그리고 80 dB/ERBN로 변화시킴에 따라 차폐 순음청력역치를 좌우와 성별로 구분하여 실시한 결과에 대하여 살펴보면
첫째로, 등가 소음수준에 따른 좌우 차폐 순음청력역치에 대하여 단일 표본 t 검정을 유의수준 .05 에서 살펴 본 결과 40 dB/ERBN에서 좌우측 모두 500 Hz에서 4000 Hz까지 모든 주파수에서 유의확률이 0.54에서 .777로 검정 값 40 dB HL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40 dB/ERBN에서 좌우측의 차폐 순음청력평균역치는 39.64 dB HL은 40 dB HL과 비슷함을 볼 수 있다. 이는 등가소음수준이 40 dB/ERBN 일 경우 청력 역치의 40 dB HL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 60 dB/ERBN 좌우측 모두 500 Hz에서 4000 Hz까지 모든 주파수에서 유의확률이 .082에서 1.000로 검정 값 60 dB HL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60 dB/ERBN에서 좌우측의 차폐 순음청력평균역치는 59.95 dB HL은 60 dB HL과 비슷함을 볼 수 있다. 이는 등가소음수준이 60 dB/ERBN 일 경우 청력 역치의 60 dB HL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 80 dB/ERBN 좌우측 모두 500 Hz에서 4000 Hz까지 모든 주파수에서 유의확률이 .054에서 .754로 검정 값 80 dB HL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80 dB/ERBN에서 좌우측의 차폐 순음청력평균역치는 79.69 dB HL은 80 dB HL과 비슷함을 볼 수 있다. 이는 등가소음수준이 80 dB/ERBN 일 경우 청력 역치의 80 dB HL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
둘째로, 등가 소음수준에 따른 성별 차폐 순음청력역치에 대하여 단일 표본 t 검정을 유의수준 .05에서 살펴 본 결과 40 dB/ERBN에서 남자의 500 Hz에서 유의 확률이 .048로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주파수에서 유의확률이 0.55에서 1.000로 검정 값 40 dB HL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남자 500 Hz에서도 차폐순음청력역치가 39.13 dB HL로 40 dB HL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으며, 40 dB/ERBN에서 남녀 차폐 순음청력평균역치는 39.60 dB HL은 40 dB HL과 비슷함을 볼 수 있다. 이는 등가소음수준이 40 dB/ERBN 일 경우 청력 역치의 40 dB HL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 60 dB/ERBN 남자의 500 Hz에서 유의 확률이 .014로 낮은 것을 제외하고 모든 주파수에서 유의확률이 .080에서 1.000로 검정 값 60 dB HL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남자 500 Hz에서도 차폐순음청력역치가 58.88 dB HL로 60 dB HL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그리고 60 dB/ERBN에서 남녀 차폐 순음청력평균역치는 59.95 dB HL은 60 dB HL과 비슷함을 볼 수 있다. 이는 등가소음수준이 60 dB/ERBN 일 경우 청력 역치의 60 dB HL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 80 dB/ERBN 여자의 500 Hz의 유의확률 0.49, 2000 Hz의 유의 확률 .033으로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주파수에서 유의확률이 .096에서 1.000로 검정 값 80 dB HL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여자의 500 Hz에서 78.75 dB HL, 2000 Hz에서 79 dB HL로 80 dB HL과 비슷함을 볼 수 있으며, 80 dB/ERBN에서 남녀 차폐 순음청력평균역치는 79.69 dB HL은 80 dB HL과 비슷함을 볼 수 있다. 이는 등가소음수준이 80 dB/ERBN 일 경우 청력 역치의 80 dB HL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
   Moore 등(2004)12)은 새로운 TEN HL 검사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모든 실험 주파수에서 동일한 차폐역치를 적용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의 연구방법에 설명한대로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여, 차폐 순음역치 감지를 위하여검사 음은 양쪽 귀에 대하여 60 dB HL/ERBN의 TEN HL레벨을 사용하여 정상 혹은 정상에 가까운 15명의 대상자들(30귀)에 대해 TEN HL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들의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39세(표준편차:10, 연령범위:23세부터 54세)이며, 주파수에 따른 평균 역치의 변화는 아주 적었으며, 60 dB HL의 예상치와 유사하다. TEN HL의 초기 버전 평가에서 역치의 증가는 4 kHz에서 약간 나타났으며, 차폐순음청력역치가 66 dB HL를 초과한 적은 한번도 없었다(Moore et. al., 2004).12) Moore 등의 결과를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해보면, 전반적으로 등가소음수준에서의 차폐순음청력역치의 평균이 모든 주파수에서 0.1 dB HL에서 0.9 dB HL까지 낮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정상 성인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와 본 연구에서 ERB당 소음강도를 60 dB HL로 제시하고 차폐 순음청력역치를 측정한 결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정상 성인의 등가소음을 이용한 검사 방법인 TEN HL 검사는 주파수별 순음역치 수준과 거의 동일하다는 가설을 받아 드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새로운 검사 방법인 TEN HL 검사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정상 성인에게 있어서 동일한 강도의 검사음을 차폐하는 적절한 도구로 생각되며, 차후 와우 소실영역을 평가하는 도구로써 와우의 소실영역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가능한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건청인 12명(남자 8명과 여자 4명)의 24귀를 대상으로 기도 청력검사와 2004년 Moore 등12)에 의해 새롭게 개발된 TEN HL 검사를 이용하여 40 dB/ERBN, 60 dB/ERBN 그리고 80 dB/ERBN 로 등가소음수준에 따라 차폐 순음청력검사 역치에 대하여 좌우 귀와 성별로 역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대상자들의 전체 평균 청력은 5 dB HL이하로 정상 청력군에 속하였다. TEN HL CD를 통한 소음레벨의 변화에 따라 TEN 역치의 값에 대한 유의 확률을 평가한 결과 TEN HL 검사도구는 500, 750, 1000, 1500, 2000, 3000, 4000 Hz의 7개 전주파수에서 해당 소음레벨과 동일한 강도의 TEN HL 역치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는 소음으로 볼 수 있다.
새로운 TEN HL 검사 방법은 기존에 TEN SPL의 검사 방법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모든 레벨을 dB HL로 표시하였다. 따라서 절대 역치는 한 번만 검사해도 가능하다. 두 번째로, 보정이 잘 되어 있어서, 소음 수준/ERB와 검사 음 수준은 청력 검사기에 표시된 값과 동일하다. 이로 인해 TEN HL 검사를 사용하기가 더 용이해졌고, 오류 가능성도 많이 줄어들었다. 세 번째로, 소음 밴드 폭은 기존에 250 Hz부터 10000 Hz까지 11개 주파수 영역에서 500 Hz부터 4000 Hz까지 7개의 주파수 영역으로 축소되었고, 소음의 파고율도 낮아졌다. 이로 인해 소음 수준/ERB를 증가 시킬 수 있게 되어 왜곡, 과도한 소리 그리고 청력에 해를 입힐 가능성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와우 소실영역을 진단할 수 있는 쉽고 간단한 방법인 TEN HL 검사방법은 본 연구 결과 전주파수에 있어서 해당 소음레벨과 동일한 강도의 TEN HL 역치를 효과적으로 차단한다고 밝혀진 만큼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보청기 처방 및 적합 과 와우의 소실영역을 평가하는 검사도구로 여러 임상 현장에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REFERENCES

  1. Ruggero MA. Responses to sound of the basilar membrane of the mammalian cochlear. Curr Opin Neurobiol 1992;2:449-56.

  2. Yates GK. Cochlear structure and function. In: Moore BCJ, ed. Hearing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995;41-73.

  3. Moore BCJ. Cochlear Hearing Loss. London: Whurr, 1998.

  4. Moore BCJ.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of Hearing (forth edition). San Diego, CA: Academic,1997.

  5. Moore BCJ, Glasberg BR, Baer T. A model of loudness perception applied to cochlear hearing loss. Auditory Neurosci 1997;3:289-311.

  6. Borg E, Canlon B, Engstrom B. Noise-induced hearing loss-Literature review and experiments in rabbits. Morph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features, exposure parameters and temporal factors, variability and interactions. Scandinavian Audiology Suppl 1995;40:1-147.

  7. Engstrom B. Stereocilia of sensory cells in normal and hearing impaired ears. Scandinavian Audiology Suppl, 1983;19:1-34.

  8. Moore BCJ, Alcantara JI. The use of psychophysical tuning curves to explore dead regions in the cochlea. Ear and Hearing 2001;22:268-78.

  9. Moore BCJ, Glasberg BR, Baer T. A model for the prediction of thresholds,loudness and partial loudness. J Audio Eng Soc 1997;45:224-40.

  10. Moore BCJ, Huss M, Vickers DA, Glasberg BR, Alcantara JI. A test diagnosis of dead regions in the cochlear. Journal of Audiology 2000;34:205-24.

  11. Langerbeck B. Textbook of Practical Audiometry. London: Edward Arnold, 1965.

  12. Moore BCJ. Dead region in the cochlea: Conceptual Foundations, Diagnosis, and Clinical Applications., Ear & Hearing 2004;25:98-116.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METRICS Graph View
  • 1,413 View
  • 29 Download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