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Relationships and Effectiveness among Various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of Hearing Aids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Other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7;11(2):120-124.
Relationships and Effectiveness among Various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of Hearing Aids
Min Ah Lee, Jung Ho Ahn, Jong Woo Chung, Tae Hyun Yoon, Kwang Sun Le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School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Seoul, Korea
보청기 착용 전·후 보청기 설문지들간의 상관성 및 효용성에 관한 연구
이민아, 안중호, 정종우, 윤태현, 이광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satisfaction in hearing aid users by using APHAB, HH, IOI-HA. Responses of 61 hearing aid us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All the mean scores fall between 2.86 and 3.86 somewhat above the middle of the scoring range. This seems to be indicative of the subject group's relative satisfaction with their fitting outcomes on the who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between APHAB and HHI fitted subjects on IOI-HA mean (p<0.05). 

Keywords: IOI-HA;APHAB;HHI;Questionnaire.

교신저자:안중호, 138-736 서울 송파구 388-1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교신저자:전화:+82-2-3010-3710, 전송:+82-2-489-2773, E-mail:meniere@amc.seoul.kr

서     론


보청기의 사용에 대한 재활의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객관적인 어음변별검사, 주관적인 자기보고서(Self-report),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보고서 등이 있다. 이를 통해 보청기에 대한 기대와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1)
노인들의 난청으로 인한 심리·사회적인 영향을 분석한 25개 문항을 이용한 HHIE(The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는 매우 널리 쓰이는 자기보고서 형태의 평가도구이다.4) HHIE는 심리·사회적 내용이 균형있게 구성되어 있고 노인들의 청력장애에 미치는 영향과 성인 재활의유효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국내에서도 HHIE를 번역하여 김 등5)은 한국 노인성 난청의 청각장애지수(KHHIE)에 관한 검사-재검사의 신뢰도를 연구하였는데 0.93에서 0.95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노인성 난청자들의 사회활동이나 심리적 측면을 고려한 다양한 환경에서 재활 및 보청기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측정하고 예측할 수 있는 검사 도구로써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등6)의 한국 노인의 청력역치에 따른 청각장애지수(KHHIE)에 대한 연구에서 청력역치가 증가할수록 장애지수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어 청력역치와 장애지수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번역본은 국제 수치로 표준화하여 각 나라간의 편차를 비교 분석하기에는 번역본 자체가 표준화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자기보고서 평가 중의 하나인 국제 표준 보청기 효과 지수(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IOI-HA)는 청각재활의 자기보고서 측정(Self-Report Outcome Measures in Audiological Rehabilitation의 국제 워크샵에서 시작되었다.7) 이 워크샵의 참여자들은 다양한 임상적인 모델과 연구로부터 자료를 조합하고 비교분석할 필요성 때문에 이러한 지수를 제작하게 되었다. 또한 IOI-HA는 각국의 다양한 의료 및 청각재활시설의 프로그램 평가자와 연구자들 사이의 협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개발되었다. 현재까지 미국, 영국과 네덜란드에서 문항간의 편차와 상관관계에서 거의 같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다국적인 사용에 효율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IOI-HA는 7개의 문항으로 매우 간단한 질문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국에서 현재 사용되는 자기보고서를 대체하기 보다는 그러한 구체적인 보고서에 상보적으로 표준화된 국제적 표준 수치를 비교하여 각국의 재활 기능을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8)
IOI-HA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23개 국가에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어 버전은 2004년 김진숙에 의해 번역되었다. 이렇게 다국어로 번역된 각 국의 IOI-HA는 http://www.ausp.memphis.edu/harl/downloads/ioifiles/korean.pdf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구나 다운로드 하여 볼 수가 있으며, 영문과 국문의 내용은 저자들에 의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본 연구는 난청으로 보청기를 처방 받은 환자들의 난청의 유형 및 정도 , 난청의 지속 기간에 따른 보청기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연관성 및 효용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전체 61명으로 청각장애로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는 남성 33명(54%)과 여성 29명(46%)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체 평균연령은 65.2세(Range:35
~91세, SD:11.3)이다. 또한 보청기의 유형별로 구분해 보면 귀걸이형(Behind-THE-Ear, BTE) 6.7%, 외이도형(In-The-Canal, ITC) 46.7%, 고막형(Completely In the-Canal, CIC)이 46.7%으로 고막형 착용자와 외이도형 착용자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Table 1은 보청기 착용 전·후에 대한 500, 1,000, 2,000, 4,000 Hz의 평균순음역치(Pure tone average, PTA)와 어음청취역취(Speech Reception Threshold, SRT)와 어음인지도(Word Recognition Score, WRS)를 요약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첫째 순음청력검사 500, 1,000, 2,000, 4,000 Hz에서 기도와 골도 역치를 검사하고, 둘째 본인의 성명과 성별, 나이를 기록한 후 보청기 처방 전 HHI와 APHAB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보청기 착용 후 약 4주 후에 HHI와 APHAB, IOI-HA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기존 순음청력검사 기록이 있으면 설문지만 작성토록 하였고, 보청기에 대한 상세 기타 사항도 기입하도록 하였다. 
설문지 작성 시 피검자의 상태에 따라 설문지의 내용을 직접 피검자가 읽고 본인이 직접 기록하도록 하였으나 피검자가 글을 모르거나 읽을 수 없거나 이해가 어렵다고 하는 경우에는 검사자가 읽어주고 피검자가 대답하면 검사자가 기록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
   IOI-HA(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hearing aids)는 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문항은 1) 보청기 하루 착용시간(daily use, USE), 2) 보청기 착용효과(benefit, Ben), 3) 보청기 착용 시 활동의 제한 정도(residual activity limitations, RAL), 4) 만족도(satisfaction, Sat), 5) 보청기 착용 시 사회적 참여의 방해 정도(residual participation restrictions, RPR), 6) 주변사람들에게 주는 영향력(impact on others, Ioth), 7) 삶의 질의 향상도(quality of life, Qol)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최근 2주 동안의 상황을 생각하며 설문지에 응하게 하는 방법으로 각 항목마다 5개의 답을 고를 수 있다.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갈수록 1점씩 커져가는 형식으로 오른쪽의 가장 좋은 결과는 5점이 되는 것이다.
APHAB(Abbreviated profile of hearing aid benefit)는 환자가 느끼는 장해정도를 24문항에 대한 설문지에 답하게 하여 4항목(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반향음에서 의사소통, 소음환경의 의사소통, 큰소리에 대한 불쾌감)에 대해 7개의 point scale을 백분율로 평가하여 %로 표시하였다. 즉, 항상 그렇다(99%), 대부분그렇다(87%), 보통그렇다(75%), 절반은 그렇다(50%), 가끔 그렇다(25%), 드물게 그렇다(13%), 전혀 그렇지 않다(1%)중 한가지를 선택하게 하여 4항목에 대해 각각 점수화 하였다. 
HHI(Hearing Handicap Inventory)는 총 2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중 13개의 문항이 난청으로 인한 감정적 영향을 12개의 문항이 사회적인 영향을 평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항상'이 4점 '가끔'이 2점 그리고 '아니오'가 0점으로 전체 100점 만점으로 평가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HHI의 총점을 바탕으로 5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는데 범주 1은 0
~16점, 범주 2는 18~36점 범주 3은 38~56점, 범주 4는 58~76점, 그리고 범주 5는 78~100으로 정해서 청각 만족도가 낮을수록 높은 범주에 속하도록 분류하였다.

결     과

IOI-HA 문항별 결과
각 Item별 평균은 2.86에서 3.86의 분포를 보였다(Table 4). 이것은 대상자들의 보청기 적합의 결과를 만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장 낮은 문항은 문항 3으로 특히 더 잘 듣고 싶었던 상황에서 현재 보청기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그러한 상황에서 아직도 어려운지에 관한 질문이었고 가장 높은 문항은 문항 6로 주변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었다(Fig. 1).

APHAB 문항별 결과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 결과가 착용 전 보다 착용 후의 만족도 점수가 '절반은 그렇다'에서 '가끔 그렇다'로 다른 문항보다 현저히 만족도 점수가 높음을 볼 수가 있었다(Fig. 2).

HHI 문항별 결과
난청으로 인한 감정적 영향이 사회적인 영향보다 보청기 착용후에 만족도가 더 증가한 것으로 보였다(Fig. 3).

PTA에 따른 IOI-HA의 상관관계
   PTA에 따른 상관관계에선 보청기 착용 전의 APHAB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였다(Fig. 4).

보청기 착용 전 후의 APHAB와 HHI의 상관관계
보청기 착용 전 후의 APHAB와 HHI의 상관관계는 0.68과 0.86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2).

IOI-HA에 따른 상관관계
   IOI-HA에 따른 상관관계는 보청기 착용 후의 APHAB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보청기 착용 후의 만족도가 보청기 착용 후 불편함 감소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Fig. 5). 

고     찰

본 연구는 난청으로 보청기를 처방 받은 환자들의 난청의 유형 및 정도 , 난청의 지속 기간에 따른 보청기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연관성 및 효용도에 관하여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IOI-HA의 각 문항별 점수는 3.49에서 4.41의 비교적 높은 분포를 보였다. 또한 보청기 하루 착용 시간이 하루 4시간에서 8시간 이상이라고 답한 응답수가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 하지만 이러한 대상자들의 응답은 전체 점수 분포가 13점부터 35점으로 넓은 범위로 개인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보청기의 다양성, 보청기 프로그램 및 처방 내용의 다양성 등의 차이로 일반적으로 보청기 적합의 결과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나 아주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비록 지수의 결과가 환자의 관점에서 보청기 적합의 결과를 수치로 평가하는 것이나 IOI-HA의 각 문항들은 서로 다른 영역으로 계획적으로 고안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 다른 문항으로부터의 반응은 각각 다른 문항사이의 관계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비록 본 연구의 대상자가 보청기 착용기간, 보청기 유형, 적합, 등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본 연구의 결과에 일관성이 부족하지만 현재 보청기 기종의 다양성과 처방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생각할 때 그러한 편차를 현실적으로 조절하기는 쉽지 않다. 청력역치가 높을수록 청각장애지수 또한 높으며 청력역치가 높다 하더라도 보청기 효과지수와는 상관관계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각각의 설문지의 청각장애지수는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청각장애지수가 낮을수록 보청기 효과지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보청기 사용 후의 다양한 평가 방법들 간의 비교 평가는 보청기에 대한 기대와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Harvey Dillon. Hearing Aids. Sydney. Thieme 2001;209-33.

  2. Bentler RA, Kramer SE. Guidelines for choosing a self-report outcome measure. Ear and Hearing 2002;21:37-49.

  3. Noble W, Atherly G. The hearing measurement scale: A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auditory disability. Journal of Audiological Research 1987;10:229-50. 

  4. Weinstein BE, Ventry IM. The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 A new tool. Ear and hearing 1982;3(3):128-34. 

  5. Ku HR, Kim JS.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orean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 (KHHIE) 언어청각장애연구 2002;5(1):133-54.

  6. Hong BN, Lee JH. The Korean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arly and Audiometric Measures. 언어청각장애연구 2002;7(1):214-33.

  7. Cox RM, Hyde M, Gatehouse S, et al. Optimal outcome measures, research prioriti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Ear and Hearing 2000;21(4):106S-15S.

  8. Cox RM, Stephens D, Kramer SE. Translations of the 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 (IOI-HA).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2002;41(1):3-26. 

  9. Cox RM, Alexander GC. The 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 (IOI-HA):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nglish ver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2002;41(1):30-5. 

  10. Kramer SE, Goverts ST, Dreschler WA, Boymans M, Festen JM. 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 (IOI-HA): Results from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2002;41(1) :36-41. 

  11. Noble W. Extending the IOI to significant others and to non-hearing-aid-based interv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2002;41(1):27-9 . 

  12. Stephens D. 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 (IOI-HA) and its relationship to the Client-oriented Scale of Improvement (COSI).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2002;41(1):42-7. 

  13. Mustafa MW. Norm for the Arabic 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 (IOI-HA). Presented material at 7th the Korean Academy of Audiology. Seoul;2004.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METRICS Graph View
  • 1,564 View
  • 39 Download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