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The Effect of Middle Ear Negative Pressure on the Transiently Evoked and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Electrophysiology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0;4(1):56-59.
The Effect of Middle Ear Negative Pressure on the Transiently Evoked and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Hoon Young Woo, Hyuk Ki Jang, Mu Wan Kang, Chang Hwan Lee, Jung Hwan Choi, Kyoung Rae Jo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Sanggye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Seoul, Korea
성인에서 일시적 중이음압이 유발이음향방사와 변조이음향방사에 미치는 영향
우훈영, 장혁기, 강무완, 이창환, 최정환, 조경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As all otoacoustic emissions must be transmitted through the middle ear before they can be measured in the ear canal, they can be affected by middle ear pressure change. To assess the effects of middle ear negative pressure on the transiently evoked and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we evaluated TEOAE and Input/Output DPOAE in 12 ears which had negative meddle ear pressure after tonsillectomy. In TEOAE, echo respons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negative middle ear pressure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badn frequencies. In 65 dB Input/Output DPOAE, there was statistically decreased emission in 2 kHz with negative middle ear pressure(p<0.05). 

Keywords: Negative middle ear pressure;TEOAE;DPOAE.

교신저자:우훈영, 139-707 서울 노원구 상계 7동 761-1
                전화) (02) 950-1924, 전송) (02) 935-6220, E-mail) hywoo@sanggyepaik.or.kr

서     론


이음향방사음은 와우의 외유모세포에서 생성되고 이는 와우의 능동적인 증폭기능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와우의 높은 민감도(sensitivity)와 sharp tuning을 가능케 한다.1) 이음향방사 검사는 임상적으로 유아의 청력 집단 검사와 와우병변의 감지에 이용되고 있다.2) 유발이음향방사음 측정시 자극음과 와우에서 생성된 방사음이 모두 중이를 거치므로 중이의 음전달기능이 유발이음향방사의 반응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중이의 병변으로 소아의 경우 장액성 중이염 환자에서의 유발이음향방사음의 반응감소에 관한 보고3)4)가 있으며 정상 소아에서도 장액성 중이염 없이 중이음압이 있는 경우도 많으므로 중이 압력 변화에 의한 유발이음향방사음의 변화에 대한 보고도 많다.5)6)
중이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하나는 폐쇄된 외이도에 압력 변화를 주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압력실(pressure chamber)에서 외이도에 미치는 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들은 상대적인 중이음압을 조성한 것으로 실제 소아에서 일어나는 절대적인 절대 중이음압과는 다르며 특히 정원창을 통하여 아우에 미치는 압력의 기전이 다르다.
이음향방사가 와우에서 생성되고 와우에 미치는 압력이 그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저자들은 보다 생리적인 중이음압을 얻고자 구개편도적출술을 시행한 후 일시적인 중이음압을 나타낸 성인에서 수술 전후의 이음향방사음을 측정하여 중이음압이 이음향방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아에서 구개 및 인두편도적출 후의 중이음압으로 인한 이음향방사의 변화에 대한 보고8)가 있으나 저자들은 이음향방사가 성인의 이독성 감시에도 쓰이므로 성인을 관찰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인두편도적출술을 시행한 18세에서 33세(평균 24.5세)의 성인으로 중이염의 병력없고 술전 이경검사상 정상고막이며 임피던스 검사상 고실계측도 A형이며 등골근반사가 75~85 dB SPL 사이에 존재하고 수술 후 고실계측도 C형을 보인 남자 5명, 여자 6명 총 12귀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검사는 무음향방음실(IAC type 4 USA)에서 시행하였으며 임피던스 청력검사는 GSI 33 middle ear analyser(Grason Stadler INC, NH, USA)를 이용하여 고실계측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음향방사 검사는 ILO 92 otodynamic analyser(Otodynamic Ltd, Hhatield, UK)를 이용하였다.
유발이음향방사(Transiently Evoked Otoacoustic Emission, TEOAE)의 자극음은 80 μs의 지속시간을 갖는 클릭음을 초당 50회 주었다. 3개의 같은 위상과 크기의 클릭음을 한 묶음으로 하여 512회 반복하였으며 그 주파수 범위는 50~5000 Hz, 크기는 80~92 dB SPL 사이의 강도로 주었다. 변조이음향방사(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 EPOAE) 검사는 f2/f1비는 1.21로 음의 크기는 L1/L2 같은 크기로 35 dB SPL부터 10 dB씩 75 dB SPL까지 주었으며 자극 주파수마다 반복 측정하여 2f1-f2 DPOAE의 크기가 2회 이상 동일한 경우를 결과로 취하였다.
통계처리는 TexaSoft Co.의 Winks(ver. 4.6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EOAE의 echo response 비교는 Paired t test로, TEOAE와 DPOAE의 수술 전후 주파수별 반응의 변화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시행하여 통계를 수행하였고 유의성 검정은 p<0.05 이하일 때 유의하다고 정하였다.

결     과

TEOAE의 결과 echo respose는 술전 12.11±1.97 dB에서 술후 10.61±2.5 dB로 통계상 의의있게 감소하였으며(p=0.017) band frequency 별 TEOAE 반응은 일견 저주파 부위에서 감소 양상을 보이나 통계상 의의는 없었다(Table 1, Fig. 1).
Input/Output DPOAE 결과는 자극음의 크기가 35 dB에서부터 55 dB SPL까지는 주파수 별로 소음치보다 반응의 크기가 작은 경우가 많아 통계처리가 힘들었으며 자극음 65 dB 전례에서 SNR(Signal to Noise Ratio)이 증가하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술후 DPOAE 반응에서 술전 반응을 뺀 것으로 저주파 부위의 감소가 심하나 2 kHz만 통계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Table 2, Fig. 2).

고     찰

이음향방사음 측정시 중이는 자극음을 와우로 보내고 와우의 방사음을 외이도로 보내는 역할을 하므로 유발이음향방사음 측정에서는 중이의 음전달 기능이 자극음을 내이로 보내는 통상적인 청력검사보다 더 중요하다.
중이음압은 정상 유소아에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중이 immittance 중 elasticity에 영향을 주어 낮은 주파수 대의 음전달을 억제한다.9) 많이 알려진 외이와 중이의 압력차이를 만드는 방법은 두 종류로 하나는 Tympanometer로 외이 압력을 변화시키는 방법5)7)이며 다른 하나는 압력실(pressure chamber)에서 대기압을 변경시키는 방법이다.6)10) 이들 방법들은 모두 외이압을 증가시켜 상대적으로 중이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임상에서 보이는 외이압력은 정상이고 중이만 음압인 절대적인 중이음압과는 생리적으로 다르다. 외이의 압력증가는 고막과 이소골을 안으로 밀어 난원창과 정원창의 압력을 증가시켜 와우의 압력을 증가시키며6) 압력실 양압의 경우 고막은 안으로 밀려 난원창의 압력은 증가하나 정원창은 중이로 밀려나 난원창의 압력만 증가하며10) 이 경우가 좀 더 생리적이기는 하나 임상적으로 보는 중이만의 절대 음압의 경우에는 압력실 양압과는 달리 난원창이 중이 쪽으로 밀려나오는 압력을 받는다.11)
이러한 내이의 압력 변화는 골도 청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고 놔우에서 생성되는 OAE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10)12) 또한 외이도압을 변화시키려면 probe를 완전 밀폐되게 끼워야 하는데 이 경우 자극음의 flat spectrum을 얻기 힘들고12) 외이도압을 크게 증가시키면 자극음의 3~4 kHz 부위의 amplitude가 증가한다.7) 그러므로 편도 수술 후의 연하장애에 의한 일시적인 중이음압은 중이음압의 좋은 model이 되며 중이음압이 오래 계속되면 중이점막의 부종 등 중이 immittence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를 막기 위해 수술 다음날 중이 음압을 확인하고 검사를 실시하였다. 소아에서 수술 후 중이음압을 이용한 검사보고8)와는 달리 본 연구의 대상인 18세 이상의 성인의 경우 중이음압의 발생 빈도가 낮았으며 중이음압 발생한 경우도 수술 다음날 정상 중이압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성인의 경우 인두편도 제거가 없고 구씨관의 기능이 소아보다 좋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중이음압의 이음향 방사에 대한 보고들을 보면 2.5~3 kHn의 저주파 부위의 TEOAE 반응이 감소하며5)7) 3 kHz 이상에서는 변화가 적다.7) 이는 중이 immittence 중 stiffness의 증가에 의한 방사음의 저주파 부위의 전달 감소로 추정된다. 그러나 다른 설명으로 1 kHz 이하의 음인 경우 등골은 piston 같은 움직으로 음을 전달하므로13) 중이음압이 발생한 경우 등골의 piston 같은 움직임이 제한되어 1 kHz이하의 감각신경성 난청을 유발한 것11)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한 OAE 반응 감소도 가능하다. 또한 중이음압에 의한 와우내 압력 변화와 이에 의한 OAE의 발생 제한의 가능성도 있어 본 연구와 같이 유발이음향방사 반응에서 중이의 변화에 의한 부분을 추정하는 것이 와우반응과 중이 반응을 분리하는 효과는 있으나 중이의 변화가 와우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소아 중이음압의 경우 TEOAE 주파수 별 반응에서 1 kHz의 반응이 감소했으며 DPOAE의 경우 3 kHz이하 부위의 반응감소도 있었으나8) 본 연구에서는 TEOAE의 주파수별 반응은 의미있는 반응 감소는 없고 Input/Output(I/O) DPOAE의 경우 65 dB SPL 자극에서 2 kHz에서만 반응이 의미있게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소아의 경우보다 반응감소가 적었다. 그 이유로 상기한 비인두 편도절제 여부와 구씨관의 기능의 연령에 따른 차이 이외에 소아의 경우 TEOAE의 1~2 kHz에서 반응이 잘 나타나고 그 amplitude가 크다는 보고14)에서와 같이 저주파 부위의 OAE의 연령에 따른 반응 차이가 영향을 주었을 수도 있다.

결     론

성인 구개편도절제술 후의 일시적인 중이 음압 상태에서 TEOAE와 I/O DPOAE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EOAE echo response는 중이 음압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2) 주파수별 TEOAE 반응은 통계상 의미있는 감소는 없었다.
3) I/O DPOAE 검사상 중이음압 때 2 kHz 부위의 반응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REFERENCES

  1. Zenner HP. Motile response in outer hair cells. Hear Res 1986;22:83-90.

  2. Prost R, Haris FP. Transiently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and distortion product emission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3;119:858-60.

  3. Amedee RG. The effects of chronic otitis media with effusion on the measurement of transiently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Laryngoscope 1995;105:589-95.

  4. Jang YJ, Chang SD, Moon BK, Park SW, Kim MY. Effects of effusion on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in pediatric patients having otitis media with effusion. Korean J Otolaryngol 1998;41:567-70.

  5. Naeve SL, Mongolis RH, Levine SC, Fournier EM. Effect of ear canal air pressure on evoked otoacoustic emission. J Acoust Soc Am 1992;91:2091-5.

  6. Hauser R, Probst R, Harris FP. Effects of atmospheric prssure variation on spontneous, Transiently evoked and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in normal human ears. Hear Res 1993;69:135-45.

  7. Veuillet E, Collet L, Morgon A. Differential effects of earcanal pressure and contralateral acoustic stimulation on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in humans. Hear Res 1992;61:47-44.

  8. Woo HY, Kim JT, Kwon DH, Yoon KS, Kim IB. The effects of middle ear negative pressure on TEOAE and DPOAE. Korean j Otolaryngol 1998;41(2):154-9.

  9. Moller AR. Transfer function of the middle ear. J Acoust Soc Am 1963;35:1526-34.

  10. Kitahara M, Kodama A, Ozawa H, Izukura H. Mechanism of hearing disturbance due to alteration in atmospheric pressure. Acta Otolaryngol(Stockh) 1994;Suppl 501:92-5.

  11. Marshall L, Heller LM, Westhusin L. Effect of negative middle ear pressure on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Ear & Hearing 1997;18:218-26.

  12. Finkelstein Y, Zohar Y, Talmi YP, Rubel Y, Shanny I. Effects of acute nagetive middle ear pressure on hearing. Acta Otolaryngol(Stockh) 1992;112:88-95.

  13. Gyo K, Arimoto H, Goode RL. Measurement of the ossicular vibration ratio in human temporal bones by use of a video measuring system. Acta Otolaryngol(Stockh) 1987;103:87-95.

  14. Lonsbury-Martin BL, Martin GK, McCoy MJ, Whitehead ML. Otoacoustic emissions testing in Young children: Middle ear influences. Am J Otology 1994;15 Suppl 1:13-20.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