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home/virtual/audiology/journal/upload/ip_log/ip_log_2024-04.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A Case of Intradermal Nevus of External Auditory Canal
Korean J Audiol Search

CLOSE


Auditory and vestibular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udiology 2009;13(2):173-175.
A Case of Intradermal Nevus of External Auditory Canal
Ha Kyun Kim, Young Gi Cinn, Hak Hyun Jung, Gi Jung Im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외이도에 발생한 진피내 모반 1예
김하균, 신영기, 정학현, 임기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Abstract

A nevus is a benign pigmented lesion, which is the most common skin tumor occurring in humans. However, its prevalence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s uncommon.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ntradermal nevi may present aural obstruction and conductive hearing loss, leading to accumulation of water in the canal and acute external otitis episodes, which could be found simply by routine otoscopic examinati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should consider inflammatory polyps, foreign body granulomas, and variety of benign and malignant neoplasm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The authors experienced a rare case of an intradermal nevus which originated in the posterior wall of the orifice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and present the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eywords: Intradermal nevus;External auditory canal.

Address for correspondence : Gi Jung Im,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26-1 Anam-dong 5-ga, Seongbuk-gu, Seoul 136-705, Korea
Tel : +82-2-920-5486, Fax : +82-2-925-5233, E-mail : logopas@korea.ac.kr


서     론

진피내 모반은 모반세포가 진피 내부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색소성 모반으로, 피부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형태의 양성 종양이다. 이는 피부의 어느 곳에서나 생길 수 있으나 외이도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1) 임상적으로 종양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증상이 없으나 크기가 증가하여 외이도를 폐쇄하는 경우 전음성 난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구전색이나 외이도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종양의 성상과 색깔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외이도에 생길 수 있는 다른 악성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다.2) 최근 저자들은 경도의 전음성 난청을 동반한 진피내 모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논문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32세 여자 환자가 약 20년 전부터 좌측 외이도에 작은 종물이 만져졌으나 다른 증상이 없어 특별한 치료없이 지내던 중, 2년 전부터 크기가 커지고 이충만감이 발생하여 내원하였다. 과거력상에서 특이병력은 없었으며, 이통이나 이루, 현훈 등의 다른 이과적 증상은 없었다. 이경 검사상에서 좌측 외이도의 입구 후벽에서 기시하는 회갈색 종물이 관찰되었다. 종물의 크기는 약 0.7×0.8 cm로 외이도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었고 종물의 표면에서는 거친 털이 보였으나 기타 궤양이나 출혈 소견은 없었다(Fig. 1). 내부의 고막은 정상 소견이었으나 순음청력검사상 우측은 기도청력 16 dB, 골도청력 7 dB로 정상인 것에 비하여 좌측은 기도청력 31 dB, 골도청력 8 dB로 경도의 전음성 난청 소견을 보였다. 측두골 컴퓨터단층촬영상에서는 좌측 외이도 후벽에 기저부를 갖는 1.2×0.7×0.7 cm 크기의 연부조직 음영이 외이도를 가득 채우고 있었으나 외이도벽과 측두골의 미란 등과 같은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2). 국소마취하에 경이도절개(transcanal approach)를 통하여 종양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시에 종물은 주위와의 경계가 명확하여 기저부의 정상피부를 일부 포함하여 깨끗하게 제거하였다. 절제 후에 생긴 피부결손 부위는 소파술을 한 뒤 향후 외이도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항생제 거즈로 패킹(packing)을 유지하였다. 기저부의 피부결손 부위는 크기가 작아 추가적인 피부 이식은 필요하지 않았다. 병리 조직 검사 결과 정상적인 피부의 진피층 내에서 전형적인 모반세포 집단(nests)이 관찰되어 진피내 모반(intradermal nevus)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Fig. 3). 수술 후 6개월 동안 재발 소견 없이 추적 관찰 중으로 추가적인 합병증은 없었다(Fig. 4). 

고     찰

진피내 모반(intradermal nevus)은 양성 피부종양으로 멜라닌세포 중 모반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멜라닌세포성 모반 혹은 모반세포성 모반(nevocytic nevus)이라고도 한다. 모반세포 집단이 표피의 기저층에만 접하여 있는 경우에는 경계모반(junction nevus), 완전히 진피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진피내 모반(intradermal nevus), 그 중간 단계인 경우 복합모반(compound nevus)으로 분류한다. 최근에는 각각 발생 과정에 따라서 초기에 모반세포가 표피의 기저층에 출현하면 경계모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진피 내부로 하강하는 과정에 있으면 복합모반, 마지막으로 진피 내에 완전히 위치하게 되면 진피내 모반이라고 분류하기도 한다.3) 경계모반은 주로 유년층이나 청소년에서 발생하는 반면에 진피내 모반은 성인에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발생 빈도는 20
~25세에서 가장 높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인종에 따라서는 흑인보다는 백인에서 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보통 융기된 반구상으로 존재하나 유경성인(pedunculated) 경우도 있고, 색조도 정상 피부색에서 흑색까지 다양하며, 거친 털을 가지는 경우가 흔하다. 감별 진단으로는 양성질환으로 염증성 용종이나 이물반응으로 인한 육아종, 지루각화증(seborrheic keratosis), 편평유두종(squamous papilloma) 등이 있으며,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 악성흑색종(malignant melanoma)과 같은 악성질환도 고려해야 한다.5) 특히 35세 이상의 나이에서 발병하거나 짧은 기간 내에 갑자기 크기가 증가하거나 표면의 궤양이나 출혈, 염증 소견 등이 있으면 반드시 악성질환을 감별하여야 하며, 이와는 반대로 크기가 3 mm 이하로 작은 경우나 종물의 색깔이 일정하고 균일한 경우, 경계가 명확하며 시간에 따라 크기와 색깔의 변화가 없는 경우 등은 양성을 시사하는 임상적인 특징으로 보고되고 있다.6) 외이도에서 발생한 모반은 전음성 난청이나 외이도염을 일으킬 수 있으나 증상이 없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악성질환과의 감별이 어렵고, 장기간에 걸쳐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악성질환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조기에 절제생검이 필요하다.7) 경이도절개 혹은 이내절개를 통한 모반 절제술이 가능하며 절제 후 피부결손 부위에서 외이도 협착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피부결손 부위가 넓은 경우 피부이식을 통하여 상피화 과정을 빠르게 도모할 수 있다.
본 예에서의 진피내 모반은 매우 흔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외이도에서 발생한 예로 보고된 바가 드물다. 따라서 타질환과의 감별 및 치료를 위하여 수술적 제거를 시행하였던 경우로, 향후 임상적으로 외이도 색소성 종물에 대한 감별 진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신중하게 치료 방침을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Youngs R, Hawke M, Kwok P. Intradermal nevus of the ear canal. J Otolaryngol 1988;17:241-3.

  2. Kazikdas KC, Onal K, Kuehnel TS, Ozturk T. An intradermal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6; 263:253-5.

  3. Elder D, Elenitsas R. Benign pigmented lesion and malignant melanoma. In: Elder D, Elenitsas R, Jaworsky C, Johnson B Jr, editors. Histopatholgy of the skin, 8th ed. Philadelphia, New York: LippincottRaven;1997. p.625-84.

  4. Kim SM, Cho JJ, Huh HB, Huh CH. A case of compound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8;41:792-4.

  5. Jang CH, Kim JO. A case of intradermal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0;43:332-4.

  6. Riley PA. Naevogenesis: a hypothesis concerning the control of proliferation of melanocytes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growth of intradermal nevi. Dermatology 1997;194:201-4.

  7. Lee FP. Pigmented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tolaryngology-Head Neck Surg 2006;135:124-8.



ABOUT
ARTICLES

Browse all articles >

ISSUES
TOPICS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stitute of Biomedical Industry, 4017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3784-8551    Fax: +82-0505-115-8551    E-mail: jao@smileml.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udiological Society and Korean Ot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